칸트 - 1.정직한 행동 - 2차시
- 최초 등록일
- 2019.02.25
- 최종 저작일
- 2019.0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칸트 - 1.정직한 행동 - 2차시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칸트 - 1.정직한 행동 - 2차시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칸트 - 1.정직한 행동 - 2차시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칸트 - 1.정직한 행동 - 2차시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Ⅰ. 이론 요약
1. 선의지와 의무
2. 순수실천이성
3. 준칙과 법칙
4. 정언 명법의 정식
5. 정언명법의 근거로서의 자유
6. 전체요약
Ⅱ. 나의 사례 및 분석
1. 사례
2. 분석
Ⅲ. 교과서 사례 및 지도 방안
1. 교과서 사례
2. 선택이유
3. 실제 지도 방안
본문내용
칸트는 다음과 같이 말하므로써 자신의 논의를 시작한다. "이 세계안에서, 아니 그밖에서조차 우리가 무제한적으로 선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은 오직 선의지(Good will)뿐이다." 선의지는 어떤 상황에서는 선하고 다른 상황에서는 악하며, 우연히 어떤 사람이 그것을 원한다면 선하고, 원하지 않는다면 악한 그런 것이 아라 무조건적이며 절대적으로 선하다.
칸트는 '선의지'라는 개념을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으로 말미암아 행위하는 것'으로 명확하게 정의한다. 우선 '의지'라는 말을 살펴보면, 의지는 이성과 감성의 중간에 위치하는 심성으로서 이성처럼 판단함과 동시에 감성처럼 행위를 일으키는 능력도 갖추고 있다. 즉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어떤 종류의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이라는 개념이 의지에 적용될 때의 의미를 밝히기 위하여, 칸트는 그가 도덕의식의 특출한 측면이라고 생각한 의무의 개념에 주의를 돌린다. 의무 때문에 행위하는 의지가 선의지다. 그러나 선의지가 필연적으로 의무에 말미암아 행위하는 것이라고 가정해서는 안된다. 의무라는 바로 그 개념 안에는 욕구나 경향성의 극복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선하고 완전한 의지는 결코 의무로 말미암아 행위하지 않는다. 인간의 의지는 완전히 선하지 않으며 감정적 욕구나 경향성의 영향을 받는데, 이런 것들은 인간에게 선의지가 나타나는 데 있어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이런 장애물이 없다면 인간의 선의지가 필연적으로 드러날 선한 행위들은 인간에게 의무로, 즉 이런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행해야만 하는 행위들로 나타난다. 인간이라는 조건하에서의 선의지는 의무에서 말마암아 행위하는 것이다. 만일 우리가 완전한 선이라는 이상에 도달할 수 있다면, 우리의 욕구를 훈련시켜 더 이상 극복할 장애물이 없도록 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선의지는 그것을 극복하는 의지와는 무관하게 그 자체로써 선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선의지는 우리의 욕망과 본성적 경향성에 의해 퇴색되어 갈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