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초 중국의 국민당과 공산당 역사
- 최초 등록일
- 2019.02.24
- 최종 저작일
- 2018.11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목차
1. 신해혁명
2. 쑨원 임시대총통 취임
3. 1920년 군벌 분포도
4. 장제스 (1888-1975)
5. 마오쩌둥(1893-1976)
6. 공산당과 국민당의 연합(1924)
7. 장제스의 정치스타일
8. 중국근대사의 주요 인물들과 결혼한 세 자매
9. 일본의 침략
10. 1931년 장시에서 공산당 당대회, 옌안으로의 대장정
11. 1949년 이후 대륙에서 장제스의 이미지
12. 1979년 중국공산당의 대 타이완 정책 변화
본문내용
1. 신해혁명
청나라에 반감을 갖고, 새로운 정치체제를 열망하는 사람들이 전국각지에서 정치 결사를 탄생시킴. 그 중 힘 있었던 정치세력을 쑨원이 이끔. 1911년, 신해혁명의 결과 청조가 붕괴되고, 중국은 공화국 체제를 갖추게 된다.
2. 쑨원 임시대총통 취임(1912.1)
쑨원은 ‘중화민국’의 성립과 더불어 임시대총통에 취임한다. 하지만 쑨원은 곧바로 막강한 군사력을 보유한 위안스카이에게 임시대총통 직책을 넘겨준다.
신해혁명 성공 과정 결정적 도움: 청나라 군인, 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 나는 뭐 없냐? 내가 총통해야지.
쑨원: 임시 총통으로 취임 -> 중화민국 탄생
쑨원: 위안스카이에 총통자리 위임.
위안스카이: 공화국에 대한 개념이 없던 사람, 새로운 민주주의 제도 관심이 없었음, 스스로를 황제라고 생각
->공화제가 다시 황제의 왕국으로 퇴보, 위안스카이 황제의 옷을 입고 천단에서 하늘에 제사.
->위안스카이: 혼란, 혼란 타개책으로 외세를 끌어드림, 중국의 주요 이권들 몰래 이양함.
-위안스카이 병으로 죽음, 또 혼란에 빠짐: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어떤 시대인가? 황제의 시대?민주국가의 시대?
위안스카이는 원래 청나라의 군인이었으나, 신해혁명 당시 혁명당과의 막후협상을 통해 혁명당을 도와 청조를 무너뜨리는 데 공을 세운다. 신해혁명이 성공한 후 쑨원으로부터 임시대총통의 자리를 물려 받고, 1913년에 중화민국의 대총통에 취임. 하지만 정당과 국회 해산 강행하고, 1915년에 스스로 중화제국의 황제에 등극한다.(베이징의 천단에서 옛 황제들을 흉내내어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예를 행함) 거센 국민들의 반발 속에 다시 중화제국의 황제 자리를 취소하고, 1916년 지병으로 사망한다.
변발: 기를 것인가 자를 것인가?
변발은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서 남성들에게 강요되던 헤어스타일이었다. 따라서 신해혁명을 전후하여 혁명과 근대화를 주장하던 이들은 청나라 통치의 상징인 변발을 잘라버릴 것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특히 신해혁명이 성공하면서 전국적으로 변발 자르기가 강요되었다. 변발을 자르지 않은 사람은 혁명에 반대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