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섬웨어는 영어로 ‘몸값’을 의미하는 ‘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Ware’를 합성한 말로 해커는 불특정 이용자의 PC에 랜섬웨어 심어 감염시킨 후, 파일을 열어볼 수 없도록 암호화시킨 경우를 말합니다. 해커는 파일 복구의 조건으로 ’비트코인‘을 요구했습니다. 이러한 경우처럼 전자적인 정보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
- 최초 등록일
- 2019.02.17
- 최종 저작일
- 2018.0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일상생활에서의 정보관리
2) 랜섬웨어가 일깨워준 ‘비트코인’의 악영향
3) 비트코인은 유지 되어야 할 것인가?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제는 조금 지난 일이 되었지만 랜섬웨어 사건을 통해 세계적으로 적지 않은 기업들이 피해를 입은 사례가 발생했다. 이들이 주로 노린 타겟은 프리랜서 사업자, 일반 및 중소기업 사업자, 대기업 사업자들을 겨냥하여 피싱 메일을 보내어, 메일에 포함된 파일을 열었을 시, 컴퓨터의 모든 파일을 먹통으로 만들어 열람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방법으로 그 파일을 복구 시키기 위한 몸값을 제시하였다.
그 데이터가 별 볼일 없는, 언제든지 다시 만들 수 있는 파일이라면 별 문제가 아니겠지만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의 경우 그 데이터 속에 거래처와의 장부 등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파일들이 모두 날아갔을 시, 그 여파는 어마어마할 것으로 보여진다.
다음의 본론에서 이러한 정보관리 방법에 있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랜섬웨어와 같은 재앙적 사태를 대비하는 방법에 대해 먼저 생각해본 이후, 랜섬웨어의 요구조건이었던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의 장단점, 유지 여부에 대해 논의해보도록 한다.
참고 자료
김승표. “핀테크 산업 활성화의 열쇠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엔써 북 (2015. 9).
김태오. “가상화폐의 이용현황과 시사점 : 비트코인과 Linden Dollar를 중심으로.” 금융결제원 지급결제와 정보기술 53(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