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aniectomy op
- 최초 등록일
- 2019.02.16
- 최종 저작일
- 2017.0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wlsodk0238
2회 판매

목차
1. 대상자의 일반적인 정보
2. 질환명에 대한 문헌고찰
3. 마취종류
4. 마취제
5. 수술체위
6. 피부소독부위
7. 수술절차
본문내용
2. 질환명에 대한 문헌고찰
< traumatic SDH >
① 질병의 정의
경막 하 혈종은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에 정맥 열상으로 인한 출혈로 생긴 혈종이다.
② 병태생리
두부외상으로 인하여 교정맥, 뇌피질 정맥, 또는 정맥동의 파열이나 뇌열창에 의해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급성 경막하 혈종은 경막외 혈종보다 뇌손상이 심하고 광범위 하여 혈종을 제거하여도 예후가 나쁜 경우가 많다. 경막하 혈종은 반충손상에 의한 발생이 더 많다.
③ 원인
두부 외상이 주 원인이다. 만성 경막하 혈종은 작은 정맥출혈이 반복되는 것에서 시작하여 혈종의 크기가 커져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 알코올 중독자, 노인에게서 빈도가 높다. 이 혈종은 대부분 심한 두부외상 후에 발생하나 두부외상과 관계없이 혈액질환, 수두증 치료를 위한 단락술 후에도 올 수 있다.
④ 증상
외상성 뇌손상 대상자는 흔히 다른 부상들과 함께 수많은 요인으로 인하여 호흡기계 문제를 갖는다. 두부손상으로 자동 조절기전이 손상되면 뇌혈류의 변화를 초래한다.
급성 경막하 혈종은 손상 후 48시간 이내에 신경계 증상과 징후가 나타난다. 대부분의 증상은 점차적인 의식소실과 함께 심각한 두통, 졸음으로 시작하여 혼돈 기면 ,혼수상태로 진행된다. 급성 경막하 혈종은 경막외 혈종보다 뇌손상이 심하고 광범위하여 혈종을 제거해도 심한 뇌부종 때문에 예후가 나쁘다.
아급성 경막하 혈종은 손상 후 48시간에서 3주 사이에 신경계 증상과 징후가 나타난다. 만성 경막하 혈종은 손상후 3주에서 몇 달 전에 외상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쿠싱반사는 심한 고혈압과 맥압의 상승, 불규칙한 호흡, 서맥을 초래한다. 대뇌혈류는 혈압상승으로 인해 증가하고, 혈관성부종이 나타나 두개내압은 더욱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저혈압과 빈맥은 저혈량성 쇼크의 증상이다. 혈량의 감소는 뇌관류압을 저하시키고 결국 뇌조직에 허혈과 경색을 유발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