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의 실제적 적용
- 최초 등록일
- 2019.02.15
- 최종 저작일
- 2019.0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의 실제적 적용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의 실제적 적용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의 실제적 적용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I. 이론 개관
1) 목적론적 윤리
2) 궁극적인 목적 : 행복
3) 인간의 기능 : 이성과 욕구
4) 탁월성
5) 도덕적인 덕과 지적인 덕
6) 실천적 지혜
7) 습관화
8) 중용
Ⅱ. 나의 경험 사례
Ⅲ. 지도 방안
본문내용
목적론적 윤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모든 행위는 어떤 '좋음'을 목적으로 삼는다고 말한다. 그는 자연 일반에도 어떤 목적이 있다고 생각했다. 특히 인간의 행위의 경우, 그가 '왜' 그 일을 했는가, 즉 그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그 일을 했는가를 묻는 것이 그 행위에 대한 설명으로서 가장 적절하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그는 인간을 포함한 자연 안에 있는 만물에게 성취하려는 분명한 목적과 수행하려는 기능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였다.
궁극적인 목적 : 행복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행동은 그것에 적합한 목적을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목적들은 다양하며 서로 종속되므로 궁극적인 목적이 존재하게 된다. 궁극적인 목적이 되기 위해서 어떠한 행위는 자족적이며 최종적이어야 하는데, 그러한 행위는 항상 그 밖의 다른 것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바람직한 것이며, 그것은 또한 인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는 것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것을 행복이라고 하였다. 행복이 행위의 궁극적 목적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유일한 목적이라는 사실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할 것이라고 확신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과 마찬가지로 행복도 인간에게 고유한 기능의 수행이기 때문에 행복은 선이 되는 것이다.
인간의 기능 : 이성과 욕구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것은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갖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이 이 기능을 잘 발휘하는 것을 자신의 목적으로 갖게 된다고 하였다. 인간의 기능은 그것은 이성적 활동이다. 인간의 영혼은 이성적 부분과 비이성적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사고와 추론을 담당하는 것이 이성적 부분이고, 욕구, 감정 등을 담당하는 것이 비이성적 부분이다. 이성적이다 라는 것은 추론 능력을 갖는 경우와 욕구와 감정이 이성을 따르는 경우를 말한다.
기능의 궁극적인 목적인 행복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러한 인간의 기능이 잘 발휘되어 이성적이 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추론 능력을 사용하는 것임과 동시에 욕구와 감정을 이성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참고 자료
장 마리 장브, 학문의 정신 아리스토텔레스, 한길사, 2004
오트프리트 회폐, 철학의 거장들, 한길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