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집에서의 일과 중 아동의 권리, 교사의 권리, 부모의 권리에 대해 알아보고 서로 상충되는 것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제시해보시오.(딜레마 상황제시) ]
- 최초 등록일
- 2019.02.13
- 최종 저작일
- 2019.0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아동의 권리
(2) 교사의 권리
(3) 부모의 권리
(4) 아동, 교사, 부모 권리 상충
본문내용
(1) 아동의 권리 :
아동권리협약(1989)에서는 첫 번째 차별받지 않을 권리(제2조), 두 번째 최선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받을 권리(제3조), 세 번째 생명을 존중 ·보호 받을 권리(제6조, 제24조), 네 번째 의사 표현의 자유를 가질 권리(제12조, 제13조), 다섯 번째 자유로운 생각과 종교를 가질 권리(제14조), 여섯 번째 사생활 보호받을 권리(제16조), 일곱 번째 발달에 맞는 교재교구를 제공받을 권리(제17조), 여덟 번째 모든 착취와 학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제19조), 아홉 번째 잠재적 능력개발을 위한 교육을 받을 권리(제29조), 열 번째 휴식 및 여가의 권리(제31조) 등이 있다. 이처럼 아동의 권리를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소유나 보호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던 아동을 권리의 주체로 인식하게 됨을 뜻하는 것으로 성인과 동등한 권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교사의 권리 :
첫 번째 전문적 측면에서 보육교사는 자율성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 연구 활동을 수행하면서 타의 지시나 간섭 없이 스스로 결정하여 추진하면서 정책적·종교적으로 중립인 위치에서 학문의 자율성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권리이다. 또한 영·유아 지도의 권리가 있는데 이는, 교사가 자율적 판단에 따라 영유아를 생활지도 할 권리를 말한다.(황보영란.2001) 다음으로 평가권리는 활동에 대한 자신 점검으로 교육 목표에 영유아들의 도달 수준과 전개 상태를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 공공성 측면에서의 교사 권리는 신분상의 권리로 비리 사실을 신고하고, 고발하는 행위로 인해 신분상 불이익이나 근무 조건상 차별을 받지 않는다. 또한 CCTV 설치로 교사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보장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근로자로서 근무 조건개선요구 권리로 근무시간에 따른 휴게 시간 제공, 휴가, 휴직 등을 제공 받아야 하지만 영·유아를 보육하고 교육하는 근무 특성상 이 같은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참고 자료
영유아교사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연구(송영미.숙명여자대학교.2016)
유아교육법의 기본법으로서의 교육기본법에 관한 연구(황보영란.한국유아교육협회.2010)
어린이집에서의 아동권리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실천상황에 관한 연구(최은숙.서울신학대학교.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