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개론 개괄
- 최초 등록일
- 2019.02.04
- 최종 저작일
- 2019.0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500원

소개글
창작자들은 개인의 독특한 사상과 표현을 문학 작품을 통해 드러내면서도, 한편으로는 문학적 전통과 관습을 의식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한국문학도 그 체계를 한 가지 기준으로 단순화 하기는 어렵다. 본 보고서에는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 특수성, 그리고 갈래와 시대별 주요 작품을 알아보는 총체적이고 개괄적인 한국문학개론의 정리를 해보았다.
목차
1. 한국문학의 개념
1.1. 한국문학의 정의
1.2. 한국문학의 범위
1.2.1. 한국문학의 특수성
1.2.2. 한국문학의 범위와 흐름
2. 한국문학의 갈래와 시대 구분
2.1. 한국문학의 갈래
2.2. 한국문학의 미학
2.3. 한국문학의 시대 구분
3. 맺음말
본문내용
1. 한국문학의 개념
한국문학의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은 문학의 전체성과 개별성의 접점에서, 두 이해의 축이 서로 맞물리면서 던지는 끊임없는 질문과 응답의 상호작용 과정이다. 이는 전체와 부분, 보편과 특수, 이론과 실제 사이에 놓인 유기적 긴밀성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며 한국문학의 체계를 재구성해 나가는 주체적 발견의 행위라 할 수 있다.
1.1. 한국문학의 정의
한국문학은 한국인(주체)로 한국의 언어(언어)로 한국의 사상과 감정(내용)을 예술적 형상(형식)으로 나타낸 문학이다.
그렇다면 한국인은 한국에서 살고 있는 한국인만을 대상으로 하는가? 그렇지는 않다. 한민족, 해외 교포 문학이라도 한민족으로 의식하는 작가도 포함된다. 그리고 반드시 한국어로 쓴 작품이어야 한국문학에 속한다. 언어에 있어서 또 하나의 논란은 한문학이다. 고대 한국의 한문학은 우리 민족이 창조한 문학으로 논란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과거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였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우리민족의 생활과 역사가 반영된 문학이라는 점에서 한국문학에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문자만이 아니라 말에 의해 창작된 구비문학도 한국문학의 범위에 포함시킨다.
1.2. 한국문학의 범위
한국문학이 갖는 특수성은 이중적 언어생활과 관련이 있다. 이는 한문학과 구비문학의 처리 문제다. 그것은 19세기까지의 동아시아 세계에서 한문이 차지했던 보편문어(普遍文語)로서의 위치다. 한문은 물론 중국에서 나온 것이지만, 주지하다시피 한반도와 일본, 베트남 등의 지역에서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광범위하게 허용되었다. 그러므로 한국문학에서도 한문문학을 국문학의 일부로 포괄하는 입장을 취할 때 우리는 지난 시대의 문학을 그 전체에 걸쳐 연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 문학의 역사적 발전·변모 과정에서 여러 층위의 문학 사이에 일어난 상호 관련과 공존 체계 및 갈등을 임시방편적인 예외 논리에 의존하지 않고 제대로 다룰 수 있다.
참고 자료
김광순(1996), 한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김광순 외(2003), 국문학개론, 새문사.
김승찬(2003), 한국문학개론, 삼지원.
성기옥(2001),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윤명구 외(2007), 문학개론, 현대문학.
조규익(2015),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홍문표(2000), 문학개론, 양문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