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
- 최초 등록일
- 2019.01.29
- 최종 저작일
- 2018.08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wlsr**** (본인인증회원)
15회 판매
목차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2.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적 접근
3. 과학적으로 입증된 교수방법 적용
본문내용
왜 통합교육이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아동에게 더욱 강조가 되나?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크게 사회성과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다. 이렇게 결함되어 있는 부분은 학교를 등교하고, 신발장에 신발을 넣고, 책상걸이에 책가방을 걸어놓는 것 등의 사회성을 배울수 있고, 또한 장애를 가진 학생이 그 당시에 배워야하는 의사소통능력들을 또래학생(비장애학생)들을 보고, 상호작용들을 통해서 배울 수 있기 때문에 통합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위한 원칙
첫째. 자폐 범주성 장애가 지니는 사회적 발달에 있어서의 일탈적 결함(사회성, 의사소통능력등)이라는 장애 특성에 따라 개별아동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계획되고 실행되는 개별화 통합을 전제로 해야 한다
- 범주성이라는 이름만 봐도 분류를 할수 있다는 것, 즉 자폐를 가진 장애학생을 모두 똑같이 접근 하기 보다는 개별적 적으로 부족한 결함(사회성, 의사소통능력, 충동적 행동등)을 보완하여 결국 사회적으로 통합시킬수 있도록 한다.
둘째, 통합 환경의 사회적 맥락과 활동이 자폐 범주성장애 아동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 할수 있어야 한다.
참고 자료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이소현.박은혜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