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 케이스 S-colon cancer (결장직장암), laparoscopic AR
- 최초 등록일
- 2019.01.28
- 최종 저작일
- 2018.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교수님께 지적받지 않았던 수술실 케이스입니다.
꼼꼼하게 자료 만들었습니다.
목차
1. 관찰 사례의 수술명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진단
6) 치료
2. 관찰 사례의 수술 전 준비 상황 확인
3. 수술 절차 및 간호
1) 수술 환자의 체위
2) 피부준비 부위 및 절개선
3) 수술 과정 및 간호
4. 마취과정
1) 마취 유도 및 유지
2) 근육이완 유지
3) 마취로부터 각성
4) 마취 단계에 따른 환자 관찰
5) 마취로부터 각성된 직후의 환자 간호
5. 수술에 사용된 물품 및 기구 확인
1) 물품
2) 기구
3) 사용한 Anesthesia 약물
본문내용
1. 관찰 사례의 수술명에 대한 문헌고찰
진단명 : S-colon cancer.
1) 정의
: 결장직장암은 대부분 선암으로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고 남녀 발생률은 비슷하다. 악성 종양의 약 70%는 결장 원위부(내림결장, S자 결장, 직장)에서 발생한다.
2) 원인
대장암의 위험요인
- 50세 이상
- 가족력
- 궤양성 대장염의 과거력
- 대장 용종 또는 선암
- 흡연
- 저섬유소 식이, 고지방 식이
- 비만
: 대장암의 확실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음.
3) 병태생리
: 대부분의 대장암은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하여 악성이 됨에 따라 장 내에서 크기가 커지고 장벽을 침윤하여 림프계나 순환계로 퍼지기 시작한다. 용종이 악성화 되는 것은 크기, 조직학적 형태 및 이형성의 정도와 관련이 있는데, 용종이 악성으로 변이되기까지 약 5~12년이 걸린다. 종양은 주로 간으로 침범되는데, 그 이유는 종양으로부터의 정맥혈류가 문맥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악성 장종양은 ① 위에서부터 가로결장까지 인접해 있는 기관에 직접 침범함으로써, ② 대개 간으로는 림프와 혈액을 통해서, ③ 복강 내로는 암세포가 퍼지거나 또는 이식에 의해 퍼지게 된다. 방광이나 요관, 생식기관 또한 직접 침범되고, 방광과 장 사이 혹은 장과 질 사이에도 누공이 생기며 혈액을 통하여 간뿐만 아니라 폐, 신장 및 뼈까지 전이되기도 한다.
4) 증상과 징후
- 종종 무증상이고 우연히 진단됨
- 부분적 장폐색의 증상
- 배변 습관의 변화(변비 또는 설사)
- 연필같이 가늘거나 리본같이 부분적으로 굵고 가는 대변
- 배변 후에도 장이 비워지지 않은 느낌
- 가스 또는 가스가 찬 느낌
- 대변에 잠혈 또는 직장 출혈
- 허약, 피로, 쇠약과 식욕부진
- 식욕감소
- 복통
5) 진단
: 확진은 대장 내시경 검사를 통한 조직검사를 통해 암세포를 발견해야 가능하다. .
참고 자료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457-465p
서울대학교병원 ( http://www.snuh.org/health/tv.do )
서울아산병원 ( http://www.amc.seoul.kr )
약학정보원 ( http://www.health.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