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즈마케팅
- 최초 등록일
- 2019.01.05
- 최종 저작일
- 2018.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900원

판매자appa**** (본인인증회원)
15회 판매

목차
1. 굿즈(Goods)와 굿즈(Goods)마케팅
2. 굿즈마케팅의 사례
1) 맥도날드
2) 알라딘
3) 카카오프렌즈
3. 굿즈마케팅의 한계
4. 굿즈마케팅의 전망
본문내용
1. 굿즈(Goods)와 굿즈(Goods)마케팅
‘굿즈(Goods)‘의 사전적 의미는 제품이다. 하지만 굿즈마케팅에서의 굿즈는 단순한 제품의 의미가 아닌 브랜드나 인물의 팬(Fan)을 대상으로 하여 디자인한 상품을 의미하고 머천다이즈(MD)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즉, ’굿즈마케팅’은 기업이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디자인한 상품을 출시하거나 미끼처럼 사은품으로 제공하여 소비자의 제품 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소비성향을 한마디로 나타낸다면 아마도 ‘개인의 취향’일 것이다. SNS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사람들은 SNS를 통하여 의류, 가구, 음악 등 많은 분야에서 자신의 취향을 숨김없이 드러내고 공유하고 있다. 그리고 사람들은 확실히 자신들의 취향에 맞춰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다. 소비자의 취향이 곧 구매로 이어지는 요즘, 굿즈마케팅은 이러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충족시키는 마케팅 전략이다.
2. 굿즈마케팅 사례
(1) 맥도날드
맥도날드는 해피밀이라는 어린이세트를 구매하면 장난감을 사은품으로 주는 마케팅을 했다. 매번 다른 콜라보레이션을 해서 제공하는 한정판 장난감들은 큰 인기를 끌었고 맥도날드의 굿즈마케팅은 성공했다. 그중 대표적으로 작년 여름에는 맥도날드 미니언 해피밀 대란이 일었다. 1차와 2차에 걸쳐 판매한 세트는 모두 품절됐을 뿐만 아니라 없어서 못사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였다. 맥도날드의 이러한 굿즈마케팅은 어린이세트메뉴임에도 불구하고 키덜트족의 취향을 적중했고, 장난감을 받기 위해 정작 어린이보다도 어른들이 줄을 서서 제품을 구입하게 하는 결과를 만들었을 정도다.
(2) 알라딘
온라인 도서 판매 사이트 알라딘은 공식홈페이지에 굿즈샵 카테고리를 별도 개설했을 정도로 굿즈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다. 도서정가제의 도입으로 더 이상 가격경쟁이 불가하게 되었고 소비자들의 도서 구매도 주춤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알라딘이 생각해낸 것이 굿즈마케팅이다. 알라딘은 도서관련 굿즈를 제작하여 구매 금액별로 굿즈사은품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참고 자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9735043&code=61141411&cp=nv
맥도날드 미니어 대란 관련 기사
http://www.aladin.co.kr/events/wevent.aspx?EventId=138432
알라딘 공식홈페이지 굿즈 카테고리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6080301072412047002
알라딘 굿즈 관련 기사
https://store.kakaofriends.com/store/kr/index.lime
카카오프렌즈 공식 온라인 스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