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MI 심근경색 케이스 간호진단 (case study A+++)
- 최초 등록일
- 2018.12.23
- 최종 저작일
- 2018.10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성인 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 입니다
간호진단 4개 있습니다.
간호과정 전부 꼼꼼하게 했고 교수님께서 칭찬해주셨습니다.
진단이 많으니 참고하기 좋으실거에요 :)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방법
5. 치료 및 간호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 및 간호중재 내용
3.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3. 증상
심근경색증과 관련된 임상증상은 심근의 허혈과 기능 감소, 이와 관련된 산증으로 인해 발생된다. 심근경색증의 주요 임상증상은 흉통인데, 이는 협심증과 비슷하지만 정도는 심하고 NTG로 완화되지 않는다. 통증은 목, 턱, 어깨, 등, 왼쪽 팔로 방사되기도 한다. 또한 통증은 소화불량으로 오인하기 쉬운 상복부에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심근경색증의 증상은 비전형적인 임상증상과 관련이 있는 다음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비전형적인 흉통, 위통, 등이나 복부통증
• 오심과 구토
• 짧은 호흡과 호흡곤란
• 불안, 빈맥, 차고 축축한 피부
• 심계항진, 식은 땀 또는 창백
• 발열과 백혈구 증가
4. 진단 방법
1) 심전도
12-유도 심전도는 경색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V1~V2 유도는 심장 중격을 향하며, V3~V4 유도는 좌심실 전벽을, V5~V6 유도는 좌심실 측벽을 향한다.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되어, 심근 허혈과 괴사가 일어나면 12-유도 심전도에서 Q파, ST분절, T파가 변화되어 나타난다. 대개 12-유도 심전도는 12방향에서 심장을 검사하며, 일반적으로 Q파와 ST분절의 변화가 있는 유도가 많을수록 경색부위가 더 넓고 예후가 더 나쁜 것을 의미한다. Q파의 변화는 중요하며, 정상적으로 Q파는 아주 작거나 없다. 관상동맥의 관상동맥의 완전폐색에 의한 AMI에서는 심전도상에서 Q파가 보이나, 완전히 폐색되지 않은 심근경색증에서는 Q파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허혈조직은 ST분절의 상승과 T파 상승 또는 T파의 역전을 보인다. 심근경색증의 과정을 보면 처음에 ST분절 변화가 나타난 다음, T파 그리고 마지막으로 Q파가 변화한다. 심근이 회복될 때 ST분절과 T파는 정상파형으로 돌아오나 Q파의 변화는 영구적이다. 그러나 경색 발생 초기 몇 시간 이내의 심전도는 거의 정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참고 자료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KIMS http://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