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자원학 중간고사/기말고사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8.12.19
- 최종 저작일
- 2018.06
- 18페이지/
MS 워드
- 가격 5,000원

목차
1. Microorganisms and Biofilms
1) Biofilms(생물막)의 개념
2) Biofilms의 형성과정
3) Biofilms의 항생제 저항성 이유
4) Biofilms 예방 및 대처 방안
2. Antibiotics and antibiotic resistance
1) Antibiotics(항생제)의 개념
2) 페니실린의 발견 배경
3) 항생제의 분류
4) 항생제의 기능
5) Anticungal Drugs(항진균제)
6) 약과 숙주와의 상호작용
7) Antimicrobial resistance (항생제 저항성)
8) 항생제 저항성의 매커니즘
9) 새로운 항생제
3. Probiotics and Prebiotics
1) Probiotics
2) 발효 : Probiotics의 생산
3) Probiotics의 단점
4) 장내 미생물의 역할
5) Prebiotics
6) Probiotics와 Prebiotics의 차이
7) Prebiotics의 기능
8) Prebiotics의 활동 장소 : 사진 check
9) Prebiotics의 중요성
10) Synbiotics
11) Microbiota과 Microbiome
12) 장내 세균
13) 분변이식(세균요법)
14) 파마바이오틱
4. Microorganisms and Food
1) 식품 미생물의 중요성
2) 미생물의 생장 요인 in food
3) 분해자 : 분해를 담당하는 생물
4) 식품 미생물 예방법
5) 식품 보존
6) 곰팡이와 음식
5. Microbial biotechnology
1) 미생물공학
2) 발효 공정
3) 식품 산업 활용
4) 의학적 활용
5) 화학적 활용
6) 농업적 활용
6. Microbial biotechnology 2
1) 건축 미생물 생명공학의 원리
2) 생물학적 정화
3) GEM(Genetically Engineered Microorganism)
본문내용
1. Biofilms(생물막)의 개념
A. 정의 : 세포외 중합체(EPS)의 자체 생산 기질 내에서 생물 또는 비생물 표면에서 서로 접착하는 생물군집체의 연합체
cf. EPS : 다당류로 구성, 당질 피질 → 생물막 형성 기여
B. 조건 : 습기, 영양분, 표면
C. 문제점
i. 생물 오손(Biofouling)
1. 정의 : 젖은 표면에서 미생물, 식물, 조류, 동물의 축적
2. 영향 : 황산염 부식 → 정유 공장의 문제
ii. 음식물에 대한 위험
1. Walkerton Tragedy : 위장염 발생
2. Biofilms의 형성과정
A. 운동성을 가지는 미생물의 벽면 부착
거친 친수성의 벽면 / 운동성 구조물 : 편모, 선모, fimbriae(그람 음성균의 부착분자)
B. 군집 형성
한계점까지 생장
C. 3차 구조 형성 및 생장
물로 가득 채워진 통로 형성 → 기질 형성
Matrix : 생물막 내에서의 영양분 운반 기능.
D. 탈착
정기적으로 탈착
새로운 형성 세포 분리or 유동 효과 or 정족수 감지
cf. 정족수 감지(Quorum Sensing)
특정 생물이 세포 간 신호 전달 물질을 이용해 자신의 속한 동종 집단의 밀도를 감지하는 것
기반 : 저분자 신호 분자의 생산 / 종내 & 종간 모두 가능.
3. Biofilms의 항생제 저항성 이유
A. 낮은 항생제 침투력
B. 효소에 의한 중화
C. 비균질의 환경
D. 세포의 느린 성장 → 영양분의 한계
E. 존속성 세균의 존재
극한의 생존 조건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저활성 세균
F. 2차 대사산물 → 새로운 표현형
4. Biofilms 예방 및 대처 방안
A. Pilicide : 상피세포
B. 효소
C. 정족수 감지 방어
D. 낮은 강도의 전류 : ex. 전자기장 & 초음파
E. 표면 코팅
대상 : 인공호흡기, 소독제, 항균물질 등
F. Bacteriophage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