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급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문화교육 방법을 제시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8.12.17
- 최종 저작일
- 2018.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ther******* (본인인증회원)
13회 판매
목차
1. 문화교육의 필요성
2. 바람직한 문화교육의 방향
3. 초급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문화교육 방법
4. 맺음말
본문내용
1. 문화교육의 필요성
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로 의사소통이 행해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같은 말이라고 문화적 의미가 다른 경우엔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다. 의사소통은 상대방의 언어를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만으로 끝나서는 안 되며, 습득한 언어를 기반으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러한 의사소통을 문화 간 의사소통이라 할 수 있다. 언어를 다양한 맥락에서 적합하게 사용하는 것이 의사소통이라 한다면, 의사소통 능력은 문화능력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즉 언어사용과 더불어 문화적 맥락에 합당하게 행동할 수 있을 때 진정한 의미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한국어 학습자들 역시 한국어로 정확하고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하기위해서는 한국어 학습 단계에 적절한 문화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2. 바람직한 문화교육의 방향
교사들 중에는 빠듯한 수업 일정 중에 굳이 문화를 포함하여 교수해야 하는지 회의적인 생각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참고 자료
민현식(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화교육, 한국외국어교육.
박정미 편저(2018),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성기철(2001), 한국어교육과 문화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우인혜(2004),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항목 선정, 이중언어학회.
박영순(200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