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욕창
- 최초 등록일
- 2018.12.16
- 최종 저작일
- 2017.07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cjsr****
2회 판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1) 기초 자료 및 주 호소(Chief complaint)
2) 병력
3) 건강수준 평가
4) 신체 기능사정
5) 활력징후 , 배변양상
6) 문제점
7) 낙상 위험 사정 도구
8) Braden scale (욕창 예방 척도)
9) MMSE-K
10) SGDS-K (노인우울증 선별검사지)
11) 일상생활활동능력 평가(ADL)
12) 로톤의 도구적 일상생활활동(L-ADL)
13) 약물
Ⅲ. 간호과정
본문내용
치매(Dementia)
치매(Dementia)란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계산능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력 등이 상실되거나 장애를 일으키는 증후군이다. WHO는 치매를 “뇌 질환으로 생기는 하나의 증후군으로 대개 만성적이고 진행성이며, 계산능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력 등과 관련된 뇌피질기능장애”라고 정의하고 있다. 인지기능의 장애는 흔히 정서 조절, 사회적 행위 및 동기화 등의 문제를 동반한다.
-원인
치매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크게 가역성 치매와 비가역성 치매로 구분.
가역성 치매
대사성 원인으로 전해질 장애, 갑상샘 질환, 비타민 결핍증, 일시적인 뇌기능의 장애를 초래하는 감염성 뇌질환, 두부외상, 정상압 수두증과 다발성 경색증 등이 있다.
비가역성 치매
퇴행성 뇌질환이 대표적, 알츠하이머병 픽병 등 치매와 다른 신경학적 증상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 헌팅톤병 다발성 신경계 위축
두 번째로 흔한 원인은 혈관성인데 다발성 경색 치매 (multiinfarct dementia)라고도 함.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뇌의 국소빈혈이나 저산소혈증 또는 출혈은 인지기능 장애를 가져오며,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져 뇌에 충분한 혈류를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혈관성 치매라고 하며 뇌졸중이나 다발성 뇌경색이 원인이다. 혈관성 치매는 흡연, 부정맥,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관상동맥질환 등이 있는 경우가 많다.
-병태생리
뇌혈관질환은 혈관일부가 파손되어 발생하는 출혈성 뇌혈관질환(뇌출혈)과 혈관속의 혈액흐름이 중단되어 발생하는 허혈성 뇌혈관질환(뇌경색)으로 구별됩니다. 뇌경색은 다시 뇌혈전증과 뇌색전증으로 구분하게 됩니다. 뇌혈전증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에 의하여 뇌동맥이나 경동맥에 동맥경화증이 초래되고 그 결과로 혈관내경이 좁아지며 혈관내벽에 상처가 생겨 피가 엉겨 붙으면서 결국 혈관이 막혀 뇌경색을 유발하는 것을 말합니다.
참고 자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 NANDA (2014) / 정담미디어
여덟째판 성인간호학Ⅱ / 김금순 외 공저 / 수문사
약물 검색 : 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