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플라즈마 가스화발전사업의 핵심 검토안 및 기존 가스화발전의 비교
- 최초 등록일
- 2018.12.14
- 최종 저작일
- 2018.12
- 14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000원

소개글
플라즈마 가스화발전(PE-IGCC)은 고압으로 운전되는 기존 가스화발전(IGCC)과는 달리 대기압 하에서 운전되므로 소요부지의 면적이 작고, 설비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경제성 있는 소용량 발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장의 수요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발전시스템 건설이 가능하다. 또한 건설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적시 공급에 적합하다.
목차
1. 플라즈마란?
2. 플라즈마 응용기술
3. 대기압 플라즈마 기술
4. PE-IGCC (Plasma Enhanced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기술 소개
1) 개발과정요약
2) 시제품의 개발 및 성능 평가
3) 기존 기술(IGCC)의 개요
4) PE-IGCC의 개요
본문내용
1. 플라즈마란?
○ 플라즈마는 고체, 액체, 기체 다음의 제 4의 물질 상태로서 우주의 99%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기적, 자기적 성질이 일반 기체와는 매우 다른 모습을 보이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일 반 기체와는 다른 여러가지의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 극 고진공에서부터 대기압까지 운전 가능 조건이 매우 다양하며 각 조건에 맞는 플라즈마 발생기술을 개발함에 따라 바이오기술(BT), 나노기술(NT), 정보기술(IT), 환경기술(ET), 우주기 술(ST) 등 그 활용범위가 방대하다.
○ 플라즈마 발생에 따른 폐기물이 거의 없으며, 온실가스 및 공해오염 물질을 정화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2. 플라즈마 응용기술
○ 핵융합에너지 개발에 필요한 태양과 같은 초고온 플라즈마 연구 외에도 플라즈마는 산업 전반에 활용 걸쳐 다양한 응용기술로 개발되고 있다.
○ 플라즈마 응용기술은 반도체부터 항공우주 산업분야까지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는 특징이 있으며, 최첨단 우주 추진체 등 미래 신기술 개발에 쓰일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발생에 따 른 폐기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온실가스, 공해 오염가스 등을 정화하는데 사용되며 수소에 너지, 태양전지, 고도 정수시설 등 미래 환경분야의 중추 기술로도 꼽힌다.
○ 다른 플라즈마 응용분야인 중성입자빔은 플라즈마 상태의 이온에 적당한 에너지를 주고 전 자와 재결합시켜 중성입자로 만든 후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한 중성입자 다발이다. 이러한 중성입자빔의 에너지를 조절하게 되면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물질을 만들거나 가공하 는 데 매우 효율적인 도구가 된다. 예를 들어, 초소형 전자제품의 발달에 따라 반도체 칩의 크기도 점점 작아지는데 이 때 중성입자빔을 이용하게 되면 기존 반도체 제조과정의 손상 문제를 해결하게 돼 더 미세한 반도체 칩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