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맞은 과제] 간호학개론 과제 대한민국 간호의 역사, 한국 간호 역사, 한국 간호사
- 최초 등록일
- 2018.11.28
- 최종 저작일
- 2016.04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조선시대 간호
2. 구한말 개항기 간호
3. 일제 강점기 간호
4. 해방 후 미군정시기 간호
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시기 간호
6. 한국 전쟁과 전후 복구 시기 간호
7. 한국 간호의 성장기
8. 간호의 발전기
Ⅲ. 논의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 서론
우리는 현재 수많은 질병과 치료 속에서 살고 있다. 가벼운 질병부터 시작해서 목숨을 앗아갈만큼 위험한 질병 속에서도 살 수 있는 이유는 간호 덕분이다. 조선시대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까지 시대의 변화에 맞춰 흐르는 간호의 변화 과정은 간호학을 공부하며 간호사를 꿈꾸는 간호학도들이 필수적으로 숙지해야 할 항목이다. 하물며 과거의 간호를 바탕으로 미래의 간호가 새롭게 탄생하는 것이므로 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리포트를 통해 한국 간호사(史)의 주요 내용을 알아보고 그것을 근거로 미래의 간호 발전에 대하여 논하여 보고자 한다.
● 본론
Ⅰ. 조선시대 간호
1. 조선시대의 간호 상황
조선시대 당시 왕실과 양반들의 의료와 의학교육을 담당하는 내약방과 전의감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공식적인 간호 기관은 없었다. 설상가상으로 조선 남녀유별의 내외법에 따라 여자들이 남자 의사에게 진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자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녀 수십 명을 선발하여 질병을 관리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의녀제도의 시작이었다.
2. 의녀제도
1406년(태종 6년)에 의녀제도가 시작되었으며 제생원에서 의녀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1435년(세종 17년) 지방 출신 의녀가 한양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지방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의녀제도를 확대하였다. 그 후 1478년(성종 9년)이 되어서야 의녀를 내의, 간병의, 초학의로 분류하는 등 체계적인 제도를 갖추었고 교재(직지맥, 침구경, 가감십상방, 화제, 부인문, 산서)와 실습방법을 갖추어 평가하였다.
(1) 의녀의 교육
의녀는 천자, 효경 등으로 유학적 인성교육을 받음과 동시에 진맥, 진찰, 침구, 명약, 간호, 산부인과적 등의 치료를 수행했다. 또한 사약전달, 질병의 예후관철, 약방기생까지 행하였다.
참고 자료
하영수 외(2014). 「간호학개론」. 신광출판사
정면숙(2015). 「간호학개론」. 현문사
이꽃메(2002). 「한국근대간호사」. 한울 아카데미
대한간호협회(2002). 국민과 함께한 간호의 역사Ⅰ(개항기~해방전) - 간호의 탄생_개항이후 근대병원에서 ‘간호직’ 필요로 해 「대한간호」 / v.41 no.1. pp.14-17
대한간호협회(2002). 국민과 함께한 간호의 역사Ⅰ(개항기~해방전) - 일제시대 간호사_독립운동과 피난민 간호에 앞장서 「대한간호」 / v.41 no.1. pp.18-19
대한간호협회(2002). 국민과 함께한 간호의 역사Ⅰ(개항기~해방전) - 대한간호협의회 탄생과 국제교류_조선간호부회 결성해 전문단체로 발전시켜 「대한간호」 / v.41 no.1. pp.22-23
정연강(2003). 한국간호의 살아있는 역사, 대한간호협회 - 보건의료계의 주인공으로 거듭나기 「대한간호」 / v.42 no.3. pp.8-9
이꽃메(2005). 한국간호사(史)와 ‘대한간호’ 「대한간호」 / v.44 no.2.=no.234. pp.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