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사/ 우리나라 다른나라사례까지 포함
- 최초 등록일
- 2018.11.26
- 최종 저작일
- 2017.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안락사 정의
2. 안락사의 배경
3. 안락사의 유형
4. 안락사의 과거와 현재
5. 우리나라의 안락사
6. 안락사의 윤리적·법률적 문제
7. 세계의 안락사
8. 안락사 사례
9. 우리의 생각
본문내용
1. 안락사 정의
안락사(euthanasia)란 ‘좋은 죽음’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의학으로는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한, 그래서 죽음을 선고받은 환자가 정신적·신체적 고통을 견디기 어려워 의사에게 고통을 끝내달라고 요청하거나 자의적으로 동의하여 의사가 그 환자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하나의 의료행위다. 다시 말해, 죽음을 앞당기는 인위적 조치를 뜻한다,
안락사의 정의에서 고려되어야 할 도덕적 사항에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 선행원칙, 죽음을 결과로 한다는 것이다.
2. 안락사의 배경
안락사는 의학 기술의 발달에 따른 생명 연장과 합리주의적 사고에 기반으로 한 삶의 질에 있어서 개인에게 좀 더 평화로운 생의 마감을 할 수 있도록 의료기술을 이용한 ‘죽음의 권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려장이나 유대민족이 노인을 벼랑으로 떨어뜨리는 풍습 등이 동양의 유교문화나 서양의 기독교 사상으로 배척당한 이후, 서양에서는 르네상스와 함께 새로운 안락사의 개념이 형성되었다.
3. 안락사의 유형
안락사는 적극적 안락사, 소극적 안락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적극적 안락사'는 고통스러워하는 환자의 요청에 따라 모르핀 투여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죽음을 앞당기는 행위이고, '소극적 안락사'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공급, 약물 투여 등을 중단함으로 결국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을 말한다.
아래의 글은 적극적 안락사와 소극적 안락사를 보기 쉽게 정리한 것이다.
① 적극적 안락사
- 환자의 고통을 해방시켜주기 위해 필요한 시술을 하는 것
- 회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환자의 생명을 단절 시킬 목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하는 경우
- 시행자의 적극적 의료행위가 환자로 하여금 죽음에 이르게 하는 행위
② 소극적 안락사
-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상황에서 환자와 가족들을 위해 치료를 포기하는 것
- 조치를 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치하는 경우
- 시행자가 당사자인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반드시 취해야 할 어떤 구체적인 행위를 취하지 않음으로써 당사자를 방치하여 죽게 하는 것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