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론(선수 지도 및 리더십
- 최초 등록일
- 2018.11.24
- 최종 저작일
- 2017.05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코칭의 정의
2. 코치의 역할
3. 코칭 방법
4. 코치의 선수지도 유형
5. 코칭시 문제 해결의 결정 방법
6. 효과적인 코칭을 위한 제언
7. 코치 직업의 허와 실
8. 코칭에 따른 오해
9. 코칭 전문지식의 발달요인
10. 전명규 감독의 코칭철학
11. 리더쉽의 개요와 정의
12. 리더십 이론의 발달
13. 스포츠와 리더십
14. Quinnd의 대응가치 리더십
15. 스포츠 집단의 대응가치 리더십 이론적 모형
16. 이상적 리더십 프로파일
본문내용
코칭이란 코치가 주체가 되어 선수들에게 해당 스포츠에 필요한 체력, 기술, 전술 등을 가르치면서 인격의 상호교류를 갖는 가르침의 한 형태로, 스포츠에서 코칭이란 선수가 운동에 참가하는데 관련된 지식이나 체력, 기술, 전술 및 전략, 태도, 철학 등을 효과적으로 습득하게 하기 위해 코치가 해야 할 총체적인 행위이다. 이는 시합에서 좋은 결과를 내는 것을 목표로 선수와 팀을 훈련시키고 이끄는 총체적인 것이다.
코치의 역할
코치는 운동규칙 및 시설의 제반조건과 안전에 관한 사항을 알고 있어야 하며 선수 개개인의 성격특성을 파악하고 개인의 능력에 맞게 체력을 향상시키며 기술을 가르쳐야 하며, 새로운 정보를 얻는데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이처럼 코치는 다양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므로 꾸준히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코치의 역할은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로서의 역할로 선수개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철학적인 내용과 도덕적 규범, 윤리 등을 지도하는 일이 해당된다.
두 번째, 트레이너의 역할로 선수들의 기능향상에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써 해당 종목에 필요한 체력, 기술, 상대의 장·단점에 대비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개인차를 고려하여 훈련강도를 조절해주는 것이 필수요건이다.
세 번째, 동기부여자의 역할로 좋은 재능을 가진 선수라도 동기부여가 없다면 재능을 극대화 시킬 수 없으며 이는 개인이나 팀에 전반적인 약화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동기부여의 방법들을 항상 연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조언자의 역할로 대부분 학생인 선수들이 많은 스포츠 현장에서 모든 면에서 민감하게 반응하기 쉬운 선수 개개인에게 인생에 대한 전반적인 조언과 상담을 해주는 것이다.
코칭 방법
효과적인 코칭을 위해서 기본적 구성요소인 전문적 지식과 전문기술, 코칭철학이나 태도를 지녀야 한다.
1.코치의 전문적 지식
스포츠의 전문적 지식은 본인의 경험을 통해 얻은 직접적인 지식과 타인의 경험, 방송매체, 전문지식관련 서적, 비디오 등을 통해 얻는 간접적인 지식이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