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영화사
- 최초 등록일
- 2018.11.22
- 최종 저작일
- 2018.11
- 1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000원

* 본 문서는 PDF문서형식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목차
1. 영화산업 침체
2. 정책 영화
본문내용
Abstract
"한국영화는 1960년대의 황금기를 지나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했 다. 가장 큰 원인은 유신시대 가혹한 검열과 정책의 영향으로 국책영화가 양산된 점이다. 부가적 인 원인으로는 경제성장에 따른 텔레비전의 보급, 국민들의 오락 성향의 다양화가 있다. 이 시기 는 대중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이 인기를 끌었고, 다양한 하위장르와 청년문화가 영화에 출현했다."
1970년대 영화사는 "영화산업 침체, 정책영화" 라는 두가지 키워드로 설명할 수 있다.
1. 영화산업 침체
영화 산업의 침체는 유신시대 검열을 비롯한 통제 정책의 영향이 컸다. 1970년 8월 6일 3차 개정 영화법이 공포되었고, '유신 영화법'이라 불리는 4차 영화법 개정이 1973년 또 이루어졌다. '유신 영화법'은 유신헌법에 의해 국민의 기본권이 국가 위기 상태에서 유보, 축소될 수 있음을 전제로 강력한 이중검열을 실시했다. 영화사 등록제를 허가제로 전환해 문화공보부의 허가를 받아야만 영화를 제작할 수 있도록 명문화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