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궤양 출혈
- 최초 등록일
- 2018.11.15
- 최종 저작일
- 2018.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위궤양 출혈 증상
2. 위궤양 출혈에 대한 검사
1) 의심이 되는 경우
2) 확진을 위한 경우 - 내시경
3. 내시경 전 필요한 간호중재
4. 약물적 치료
5. 위장관 출혈을 위한 인터벤션
본문내용
⦁구토, 대변에서 선혈 또는 흑혈이 보이는 경우
⦁Hematemesis(토혈), melena(흑색변) → 상부위장관출혈을 의심
⦁Hematochezia(혈변) → 하부위장관출혈을 의심
⦁눈에 보이는 출혈이 없는데 철 결핍성 빈혈이 있는 경우
* CBC(complete blood count)검사에서 설명할 수 없는 Hb, Hct의 갑작스러운 감소가 있는 경우, hematemesis/melena/hematochezia 등의 위장관 출혈 증상이 없어도 위장관 출혈을 의심하여 검사를 진행해 볼 수 있다.
* 상부위장관 출혈은 위궤양(peptic ulcer) 또는 식도궤양(esophageal ulcer) 출혈, 정맥류 출혈(variceal hemorrhage), 말로리-바이스 신드롬(Mallory-Weiss tear), Boerhaave's syndrome, malignancy로 그 원인을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 하부위장관 출혈은 상부위장관 출혈이 배제되는 경우 의심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