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보건소실습 보건사업기획(SWOT분석 포함)
- 최초 등록일
- 2018.11.09
- 최종 저작일
- 2018.10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교수님께 꼼꼼하다고 칭찬받은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구의 특성
1. 지역특성
2. 인구학적 특성
3. 건강수준
4. 주민관심도
- 지역사회 환경 분석(SWOT)
Ⅱ. 사업의 필요성
Ⅲ. 사업기획
1. 사업목표
2. 사업대상
3. 사업 시간 및 장소
4. 세부내용
5. 홍보방안 및 보상방안
6. 예산
Ⅳ. 평가계획
※ 붙임) 참가 동의서
본문내용
Ⅰ. 구의 특성
1. 지역특성
- 부산의 북동쪽에 있으며, 동해선 광역 전철이 경유하고 있고, 충렬대로와 중앙대로가 교차하는 교육 및 교통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으며, 또한 역사의 고장으로 동래 읍성지, 복천동 고분군 등 유·무형문화재가 산재되어 있으며, 동래온천, 금강공원, 온천천 정비, 도심지역 재개발 추진, 각종 공원조성 등으로 건강증진환경이 개선되고 있다.
- 지역 의료기관은 458개소, 보건의료인력은 3,644명이며, 동해선 광역 전철이 경유하고 충렬대로와 중앙대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사통팔달지역으로 부산교통의 요충지로 의료기관의 접근이 용이하다.
2. 인구학적 특성
- 인구크기는 2004년부터 감소하다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며, 세대수는 증가하고 세대당 구성원 수가 감소하는 핵가족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 인구구조로는 65세 이상의 모든 연령층에서 인구가 늘어나는 반면 0~14세 이하에서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어 최근으로 올수록 노령화가 더 진전된 것을 알 수 있다.
- 65세 이상의 인구비율이 2004년 7.4%에서 2017년에는 16%로 크게 상승하여 현재 고령화 사회 상태이며, 이에 따른 노령인구 부양비가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노인인구집단이 빈곤, 질병, 소외 등의 위험이 큰 집단으로 보건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3. 건강수준
- 동래구의 10대 사인원인 중 1위 암, 2위 심장질환, 3위 뇌혈관질환, 5위 당뇨병, 6위 고혈압이다.
-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은 2017년 전체 28.2%로 2016년 21.0%에 비해 7.2% 증가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2016년 부산시 15.0%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높았다. 연도별로는 2011년 이후로 큰 폭의 증감을 반복하였고,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성별로는 남자 26.5%, 여자 29.8%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37.3%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20.2%로 가장 낮았다.
- 걷기 실천율은 2017년 전체 69.9%로 2016년 57.9%에 비해 12.0% 증가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참고 자료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CDC/main.jsp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search/search.do
국립보건연구원
부산광역시 2017년 주민등록인구통계
2017 부산 동래구 지역사회 건강통계
2015-2018 동래구 지역보건의료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