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의 현대소설사적 의의
- 최초 등록일
- 2018.11.08
- 최종 저작일
- 2007.04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then****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목차
1. 「무정」이 이전까지의 소설들과 다른 점
1) 글의 구조, 문체, 시점 등 등 작품외적인 요소
2) 작품 내재적인 요소
2. 「무정」이 문학사적으로 가지는 종합적인 의의
3. 「무정」이 가지는 한계
1) 계몽의식에서의 한계
2) 주제의식에서의 한계
4. 조사 후기
본문내용
<전지적 작가 시점 - 행동, 심리 관장>
등장인물의 외면과 내면을 전부 관장하고 행동에 관한 설명(대사를 포함한 것이겠지요?), 심리적 변화의 의미까지 해석합니다. 그리고 주제를 분명히 하기 위해 인물을 조종하고, 필요하면 작품 도중에 서술자로서 개입하기도 합니다.
= 고소설에서 나타나는 3인칭 시점은 인물들의 행동과 심리변화를 단지 무미건조하게 늘어놓았을 뿐입니다. 고소설에서는 그러한 인물들의 행동과 심리변화는 작품 속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나타내기 보다는, 단순히 내용을 이어 맞추기 위해 “나열한” 것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작중에서 서술자로서 개입하는 경우에도, 고소설은 단지 줄거리를 늘어놓는 “변사”의 역할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무정」은 작품에서 벌어지고 있는 내용에 대해 작가가 “논평적 개입”을 합니다. 이전까지와 비교해보았을 때, 방법론적으로 정말 신선한 서술 방식이라고 여겨집니다.
<문장의 유연함과 폭의 넓음>
장문, 복문형의 문장이 많이 쓰였는데 이러한 점은 문장의 유연성을 가져다주고, 장편 소설답게 폭이 넓은 문체로 쓰고 있습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