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 최초 등록일
- 2018.11.07
- 최종 저작일
- 2018.1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800원

소개글
넷플릭스 기업분석과 수익모델분석및 넷플릭스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과 한국시장전략 제시 레포트입니다.
레포트의 방향성과 내용에 대해 교수님에게 칭찬을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참고하신다면 생각을 많이 해보았다고 칭찬 받을수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목차
1. 넷플릭스 기업소개
2. 넷플릭스의 수익모델 (비지니스모델)
3. 시장환경분석 (5 Forces Model분석)
4. 넷플릭스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넷플릭스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6. 넷플리스 마케팅 4P전략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7. 결론 및 향후전략제언 (한국시장진출 전략제언)
본문내용
1. 넷플릭스 기업소개
인터넷(NET)과 영화(Flicks)에서 따온 이름인 넷플릭스는 전세계에 가입자만 1억3천만 명에 이르는 세계 최대 유료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다. 인터넷으로 영화나 드라마를 볼 수 있는 회원제 주문형 비디오 웹사이트로 1997년 인터넷을 통해 DVD를 우편으로 대여해주는 서비스로 사업을 시작했다. 인터넷 스트리밍까지 사업을 확장한 것은 2007년인데, 당시 비디오 대여 체인 1위 블록버스터는 2005년 기준 미국에만 점포 5500곳이 있을 정도로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하지만 넷플릭스가 기존 블록버스터의 운영 방식과 반대로 연체료 대신 구독료를 통해 비디오 대여 사업을 시작하면서 엄청난 성장세를 기록하였고 결국 블록버스터는 2013년 파산했다.
2. 넷플릭스의 수익모델
넷플릭스 사업은 기본적으로 영화 제작사, 방송사 등 주요 콘텐츠 기업을 상대로 미디어 콘텐츠를 확보하여 이를 가입자에게 우편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수익을 얻는 모델이다. 콘텐츠 유료 가입제(Subscription Model)로 제공되며, 가입자는 매달 정액으로 온라인과 우편을 통해 콘텐츠를 무제한 시청할 수 있다. 넷플릭스의 사업 모델은 세계 1위의 비디오 대여 체인이었던 블록버스터의 연체 수수료(Late Fee)로부터 출발했다. 블록버스터는 정해진 기간 내에 반납하지 않을 경우 연체 수수료를 부과하는 형식의 수익 모델이다.
블록버스터의 수익 모델은 기존 고객들의 불만 사항으로 다가왔는데 넷플릭스는 역발상으로 연체 수수료를 없애고 구독료를 수익 모델로 삼음과 동시에 온라인 대여 서비스를 도입함으로서 업계 1위로 올라섰다. 이는 넷플릭스가 수요자 관점에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혁신을 이룬 것으로 판단된다.
3. 시장환경분석 (5 Forces Model분석)
(1) 기존 기업들 간의 경쟁은 다소 압박이 있는 편이다.
영화 대여 산업은 진입 장벽이 높지도 않으며 많은 기존 사업들-예를 들어 아마존, 훌루, 유튜브, 애플 티비가 존재하기 때문에 경쟁력이 치열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