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 도예, 야나기무네요시, 일본, 현대도예, 불이미,
- 최초 등록일
- 2018.11.02
- 최종 저작일
- 2017.03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1. 연구진행과 구성
Ⅱ. 야나기 무네요시의 ‘불이미’
1. 성장배경과 사상적 배경
2. 불이미 不二美
Ⅲ. 현대도자작품에 나타난 불이미
1. 마이클 카듀
2. 샘 하일레
3. 버나드 리치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요
야나기 무네요시(1889-1961)가 조선의 미학이라 규정한 ‘불이미’와 현대도예작품과의 연계성을 고찰하여 야나기 미학이론에 대한 견해를 넓히고자 하는 게 목적이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식민지로 전락했던 시대에 조선예술의 미학적 특질과 조선미술의 독창성을 처음으로 언급했던 일본인이었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불교미학에 기초한 민예론에서 조선예술을 가장 민중예술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하였다. 그는 조선예술의 체험을 통해 서구예술이 보편적인 하나의 예술로 인식했던 시대의 파라다임 속에서 벗어나 조선의 민예에서 미적특질을 찾고자 했다. 종교철학에 기초한 야나기의 조선 예술론은 서양의 이원론적 사고에 기초한 형이상학적인 인식론이 아니라 <무>, <공> 의 깨달음에서 얻어진 동양의 ‘불이론’에 기초한 것 이었다. 야나기가 말하는 최고의 미적가치는 서양의 종교예술의 특성인 성스럽고 완벽한 아름다움이 아닌 대중들이 많이 사용하는 평범한 잡기에 아름다움이 있다는 직관으로 시작되었다. 야나기의 예술론인 ‘불이미’에 대한 미적 특질은 현대도자작품에도 많이 내포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나기의 미적이론인 “불이미”가 현대도자작품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났는지를 분석하고 ‘불이미’가 하나의 미학으로서 자리하고 있음을 고찰하고자 했다.
<중 략>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과 배경
야나기 무네요시는 조선예술을 통해 민예론을 주장하고 불교철학에 기초해 ‘불이미론’ 을 내세웠다. 그는 수십 차래 한국을 방문하면서 겪은 미적체험을 토대로 조선 예술의 미를 삶 자체에서 찾음으로써 서구 근대의 이원론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동양의 불교철학에 근거한 불이론적 기초를 세운다. 그는 일본의 다인들이 즐겨 찾던 찻잔을 천하제일의 명기라 칭송하며, 이 찻잔을 “아름다움에 대한 감상과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과 아름다움에 대한 철학이 있다.” 라고 말한다. 이 찻잔은 다름 아닌 조선 서민들이 예사로 사용하던 조선의 밥공기 이었고 아무렇게나 쓰는 막사발 이었다.
참고 자료
가스 클락(2004). 『현대 도예의 탄생 예술가들』. 김수진 옮김. 서울, 현실문화
안휘준(2000). 『한국의 미술과 문화』. 서울. 시공사
안휘준, 이광표(2008). 『한국미술의 미』. 서울: 효형출판.
이인범(2000). 『조선예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시공사.
야나기 무네요시(2002).『조선을 생각한다』. 심우성 옮김. 서울: 열린 책들..
야나기 무네요시(1922.1). 『전집』6. 서울: 휴머니스트.
야나기 무네요시(1994).『공예의 길』이길진역
하워드 리사티(2013). 『공예란 무엇인가』허보윤 옮김. 미진사
최광진(2016)『한국의 미학』미술문화
김은영(1999). 「야나기 무네요시의 미학사상연구」.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남도현(2016). 「야나기 무네요시 예술관의 낭만주의적 성격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주요안나(2016). 「버나드 리치 도자작품에 나타난 동양적 특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이즈미 지하루(1998). 「야나기 무네요시의 한국미론과 종교철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