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계 병동] 담관염(cholangitis) 케이스 간호진단(3개)
- 최초 등록일
- 2018.11.01
- 최종 저작일
- 2017.12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600원

판매자jsh**** (본인인증회원)
8회 판매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소화기병동 실습하면서 담관염 간호진단 한것입니다.
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입니다 ^^
소화기계 부분 국시에도 많이 나오고 임상에서도 많이 다뤄져서 중요합니다
중요한만큼 열심히 했습니다!
교수님한테 칭찬 받았고, 피드백 받은 부분까지 수정 시킨것 입니다. 당연히 A+받았습니다.
대충한 케이스 여러개 사셔서 돈버리지 마시고 이거 하나로 하세요 !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간호정보
2. 신체사정
3. 진단의학 검사
4. 투여약물
5. 치료경과
6. 간호과정
Ⅲ. 결론
1. 느낀점
본문내용
담도계(Biliary system) 질환 중 담관염(Cholangitis)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Cholangitis의 원인은 비만과 좌식생활,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에 의해 발생되지만 그 중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이 일반적인 원인이다. 우리나라는 과거 서양에 비해 색소성 담석과 담관석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 간 흡충증, 회충과 같은 기생충 감염과 세균 감염이 많았으며, 고탄수화물 식이 역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에는 식생활, 위생상태, 사회경제적 수준의 변화로 일본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담석도 서양인과 비슷하게 변해가고 있다. 서구화되어가는 식습관에서 담석은 우리나라에서 흔한 질병이 되었고,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공부하고 알맞은 중재를 적용하기 위해 본 사례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치료경과 및 계획
2017.11.30.부터 Rt. upper abdominal pain이 있어 입원을 한 뒤 검사 상 결과 cholangitis를 진단받아 12/4에 ERCP(내시경적 역행성 담도췌관 조영술)을 통해 치료를 하여 통증이 많이 줄어든 상태이다. 그 외의 jaundice가 aggravation되어 lab검사수치상 간 기능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어 이에 따른 간호가 필요하여 약물복용중이다.
결론
담도계(Biliary system) 질환 중 담관염(Cholangitis)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고,
담석증은 보통 통증이 없으면 치료를 하지 않는데, 그것이 나중에 담관 을 폐쇄해 담관염 을 일으킬 수도 있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질병이다.
이번에 이곳에 와서 여러 질병을 만나고, 교과서로만 보던 간호중재를 실제 임상에 와서 보고 느끼니 정말 좋았고, 기억에 남는다.
여기병동에 여러 질환이 있었는데 그 질병 중 난 담관염 을 잡아서 간호과정을 해보았는데 해보니 확실히 케이스를 하니, 그 질병에 대해서는 완벽히 마스터 한 것 같다.
참고 자료
조경숙 외(2016),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460~p470
간호 대학생을 위한 왜? 어떻게? 소화기, 대광의학, 최경희 외,P223~230
성미혜 외(2015),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정문각, p180-186, p265
기본간호학 Ⅱ (2015), 손정태 외, 현문사
드러그 인포, https://www.druginfo.co.kr/
인체생리학 ,현문사, 소화 및 대사 , 329~33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