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의 갈래
- 최초 등록일
- 2018.10.28
- 최종 저작일
- 2015.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갈래란?
1) 갈래의 기원
2. 용어와 방향
1) 문체
2) 갈래를 구분하는 이유
3) 갈래 이론 확립 조건
3. 갈래의 구분
4. 국문학 연구에서 갈래 이론이 차지하는 위치
본문내용
갈래의 정의
- 문학을 개별 작품의 차원에서 이야기하지 않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이고 공통적인 성격을 바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개념.
서구어로 ‘장르’란 뜻을 가지고 있다.
- 갈래에는 큰 갈래와 작은 갈래로 나뉘어 질 수 있는데 이는 상위개념의 갈래류(서정, 서사 등)와 하위개념의 갈래종(소설, 시, 희곡 등)이다.
(1) 갈래의 기원
1) 동양 : 시경 - 風 ․ 雅 ․ 頌
2) 서양 : 아리스토텔레스 - 비극, 서사시, 서정시
용어와 방향
(1) 문체(文體) - 장르에 해당하는 한국의 용어.
동문선에서 중국의 예에 따라서 48종으로 구분,
조윤제- 갈래류-부문(部門)
갈래종-유형(類型) 또는 형태문학(形態文學)
장덕순- 양식(樣式)
-1478년에 쓰인 ‘동문선(東文選)’에서 중국의『시경』예에 따라 ‘문체’라는 용어로 예부터 쓰였지만, 이는 한문학에 국한된 용어였으므로 국문학으로 접어들면서 학자들 마다 다른 명칭을 사용하였다.
참고 자료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집문당)
김학동 박노준 외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박태상 손종흠 ‘국문학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