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의 역사적인 변천
- 최초 등록일
- 2018.10.27
- 최종 저작일
- 2012.06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태권도의 역사
1) 고구려
2) 신라와 백제
3) 고구려의 택견의 신라의 전승
4) 고려시대
5) 조선시대
2. 태권도 - 국기로서의 의미, 현대의 태권도
3. 태권도의 기술체계
1) 품새
2) 겨루기
3) 격파
4. 태권도의 정신세계
1) 태권도 정신의 근원적 사상
2) 우리 민족의 전통적 사상과 태권도 정신의 철학적 배경
3) 결론
5. 태권도의 철학
본문내용
1. 태권도의 역사
전 세계의 무술은 이유야 어찌됐건, 공격과 방어에 근간을 두고 있을 것이다. 태권도도 마찬가지로 공격과 방어기술이 존재한다. 하지만 태권도는 다른 무도와는 달리 정신적인 면을 존중하고 매우 중요시 하여, 자기 수양에 매우 좋은 무도라 할 수 있겠다.
『2000년 전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창시된 고유의 전통 무술로, 오늘날 세계스포츠가 된 격투경기이다. 태권도는 이제 세계화된 국제적으로 공인된 스포츠로 2004년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태권도는 전신운동으로서 상대편으로부터 공격을 받았을 때 맨손과 맨발로 인체의 관절을 무기화하여 자신을 방어하고 공격하는 무도이다.
또한 수련을 통하여 심신단련을 꾀하고 강인한 체력과 굳은 의지로 정확한 판단력과 자신력을 길러 강자에게 강(强)하고 약자에게 유(柔)하며, 예절바른 태도로 자신의 덕을 닦는 행동 철학이다. 태권도의 정신은 수련으로 얻어지는 기술의 소산이다.』
2000년이라는 역사를 갖고 있는, 독자성이 있으면서 스포츠로서의 기능도 인정 받았으며, 전 세계적으로 심신단련을 위해 많은 사람이 수련하는 태권도의 역사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알아보자.
고구려시대
삼국시대 때 고구려의 문화는 말할 것도 없이 한민족문화의 여명기로서 독창적인 내용을 지니고 있다. 태권도의 가장 오래된 실증은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그려진 풍속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고구려가 도읍으로 정했던 국내성과 환도성이 위치했던 지금의 중국 땅인 둥베이 퉁화성 지안현 퉁거우 지방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고분 중 하나인 무용총 널방의 천장지송부에 두 사나이가 서로 마주 서서 겨루는 그림이 그려져 있고, 또 삼실총(퉁거우 지방에서 발굴된 고분)의 삼실 동벽과 서벽에 품세의 자세가 그려져 있다.
그리고 황해도 지방의 고분인 동수묘(황해 안악군 유설리에서 발굴된 고분)는 요동에서 고구려로 귀순한 연의 장군묘로서 357년에 봉분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앞방 동벽에 태권도 겨루기의 자세가 그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태권도가 많은 고구려인들에 의해 수련되었음이 입증되고 있다.
참고 자료
한혜진의 I love Taekwondo』- http://www.ilovetkd.com/
두산 세계 대백과 encyber』- http://www.naver.com/
태권젠 - http://www.taekwonzen.com/
태권도 교본 <이학식>, (바른길)
태권도의 철학적 원리 <이창후>, (지성사)
태권도 철학의 구성원리 <김용옥>, (통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