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장염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2개 이론적 근거 포함
- 최초 등록일
- 2018.10.15
- 최종 저작일
- 2017.06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xogml97
26회 판매

목차
1. 사례 대상자 선정 이유
2. 문헌고찰
1) 사례 대상자의 의학적 진단에 대한 병태생리
2) 사례 대상자의 의학적 진단에 대한 치료
3) 사례 대상자의 의학적 진단에 대한 간호
3. 대상자 사정
1) 대상자 간호력
2) 진단적 검사화 결과 해석
3) 사용 약물 조사
4) 간호진단별 간호
4. 퇴원 교육
본문내용
호흡기 질환 다음으로 영유아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염은 여름보다 겨울철에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가 유행해 장염환자가 증가한다. 특히 소아의 경우 성인에 비해서 면역력이 부족하고 장의 완충 기능이 작아 증상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소아장염에 대해서 문헌고찰 해보고 간호문제에 대한 간호과정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1. 사례 대상자의 의학적 진단에 대한 병태생리
1) 장염의 정의
: 장염이란 장(소장, 대장)에 염증이 생기는 모든
질병을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로, 크게 세균성
장염과 바이러스성 장염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경우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식중독과 구분이 어렵기도 하다.
2) 원인 및 유발요인
(1) 나이에 따른 원인 및 특징
- 주된 원인균은 아동의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다.
- 장염은 정상 상주균으로 존재하던 병원체가 어떤 조건 하에서 설사와 같은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데 신생아와 어린 영아에게 특히 민감하다.
- 바이러스나, 세균, 스트레스, 면역결핍, 음식, 식중독, 기생충, 약, 장질환 등으로
장염이 발생 될 수 있다.
- 바이러스성 감염은 겨울철에 자주 일어나며, 세균성 감염은 여름과 가을에 더 많다.
(2) 원인균의 전파경로
① 대변 - 경구 통로
② 사람과 사람의 접촉을 통해
(shigella, Glardia, Campylobacter는 직접접촉에 의해 전염됨)
③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통한 전염 등
3) 병태생리
(1) 위장관의 병원체가 침입하면 장벽손상이나 염증이 생기고 따라서 장독소가 장내
분비증가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흡수 감소 등을 유발
(2) 장내 병원체는 점막세포를 침점하여 찻잔 모양의 주춧대를 형성, 그 위에 세균이 서식
(3) 설사는 하게 되는데, 유기체가 세포표면에 부착, 이차적으로 독소를 분비하는지
(비침습성, 독소생산의 비염증성 형태의 설사)와 점막을 침범하는지(전신성 설사)등에 의해 설사의 양상이 다르다.
(4) 이는 심한 설사와 관련 있는 가장 심각하고 직접적인 생리적 장애를 유발한다.
참고 자료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고성희 외. (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김양호. (2010). 기본 병리학. 현문사
홍영혜 외. (2011). 최신 간호진단. 수문사
성미혜 외. (2014). 간호과정. 정문각
송경애 외. (2014). 최신 기본 간호학(하). 수문사. 서울
윤희옥 외. (2014). 아동간호학Ⅰ. 현문사
조경숙 외. (2014). 성인간호학Ⅱ. 현문사
http://www.druginfo.co.kr/ 드럭인포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아동간호 AGE, 급성 장염 A+ 케이스, 문헌고찰 :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설사, 영.. 18페이지
A+받은 enteritis(장염)케이스!!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간호중재3개, 사진첨부! 인.. 21페이지
아동(PED)case study, AGE(급성위장염),epliepsy, 인수인계, 진단 10개 10페이지
아동 장염 케이스 12페이지
아동간호학 장염Enterocolitis 간호진단 급성통증 1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