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DM)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18.10.10
- 최종 저작일
- 2017.08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티아
42회 판매

소개글
당뇨병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과정 첫번째꺼는 교수님이 매우 잘했다고 칭찬하셨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반정보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진단검사
4. 투약
5. 간호과정
Ⅲ . 결론 및 소감
Ⅳ. 출처
본문내용
1. 정의
WHO의 정의에 따르면 당뇨병이란 만성 고혈당 상태(혈중 포도당 농도의 과잉상태)로서 그 원인에는 다수의 환경인자, 유전인자 및 그들의 복합인자가 있는데, 고혈당은 인슐린의 결핍 또는 인슐린과 길항작용이 있는 호르몬의 과잉에서 기인한다고 추정되며, 이 불균형에 의해 당질, 단백질, 지질대사 이상이 야기된다.
2. 원인
당뇨병은 그 기전에 따라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나눌 수 있다.
1. 제 1형 당뇨병(1형 DM)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 IDDM
우리나라 당뇨병의 2% 미만을 차지한다. 주로 사춘기나 유년기에 발생되며, 일반적으로 30세 전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성인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제2형 당뇨병과 달리 유전적인 요인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가족력은 제2형 당뇨병보다 적다. 대부분의 1형 당뇨병은 유전원인 외에 바이러스, 감염 등의 환경인자로 인해 자가면역에 이상이 발생해 이자의 β-세포가 파괴됨으로써 이자에서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아서 발병한다.
유전적 성향은 특정한 HLA 종류를 가진 사람에게서 발견된다.
자가면역 질환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항랑게르한스섬항체(islet-cell antibody : ICA), 보체결합성 랑게르한스섬 항체(complement-fixing islet-cell antibody : CF-ICA), 항랑게르한스섬 세포표면 항체(islet-cell surface Ab : ICSA) 등이 환자의 혈중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Coxsackie B군 4형, 유행성 이하선염(mumps), 홍역(measles), 풍진(rubella), cytomegalovirus 등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도 원인으로 생각된다.
2. 제 2형 당뇨병(2형 DM)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 NIDDM
인슐린 분비장애와 인슐린 저항성이 관여하고 있으며, 유전적 인자,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기인된 비만과 같은 환경적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9 : 내분비, 2013. 5. 10., 도서출판 정담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성인간호학 하권 제 6판, 조경숙 외 다수, 2016년, 현문사
당뇨발관리 및 당뇨양말 착용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강미정 , 권영아,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1권0호 (2011), pp.252-252
심포지움 : 당뇨병의 발 합병증, 김용성,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교육자 세미나> 0권0호 (1992), pp.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