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경제 분석과 그에 따른 대처방안
- 최초 등록일
- 2018.10.05
- 최종 저작일
- 2018.03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경제 진단
1. 세계경제성장률과 한국경제성장률
2. 잠재성장률과 실질성장률
3. 민간소비율과 경제성장률
4. 소비자 심리지수
5. 실업률 & 취업률
(1) 실업률 -연령별 실업률
(2) 취업률 -연령별 취업률
(3) 청년실업률
6. 투자
(1) 투자 동향
(2) 투자와 경제의 상관관계
7. 전문가들이 살펴본 경제전망
Ⅱ. 대책방안
1. 소비 대책
2. 투자 대책
3. 취업률&실업률 대책
본문내용
1. 세계경제성장률과 한국경제성장률
현재 대한민국의 경제는 세계 경제성장률과 비교해서 표현할 수 있다. 위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 세계 경제성장률은 2017 년에 3.7%에서 2018 년에는 3.8%로 상승하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2017 년 3.1%에서 2018년에는 0.3% 하락한 2.8%를 기록한다. 또한 2018 년도에는 세계 경제성장률에 격차가 1%로 더 벌어지는 것을 보여 준다. 세계 경제는 호황인데 우리만 유일하게 성장과 투자가 위축되고 고용이 겨울을 헤매고 있다.
2. 잠재성장률과 실질성장률
경제는 실질성장률과 잠재성장률의 차이를 통해서도 진단이 가능하다. 이 두 가지를 비교하면 여러 가지 해석을 할 수 있다.
먼저 잠재성장률이란 한 나라의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자본, 노동력, 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사용해서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이룰 수 있는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말한다.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서 최고의 노력을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의 성장치 라고 이해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호황이 되면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게 된다. 실질경제도 잠재경제성장률에 맞게 최고의 노력을 통해 비슷한 경제성장률을 이뤄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경제 불황기에는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밑돌게 된다. 있는 자원을 활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경제성장률이 낮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왼쪽 그래프가 한국은행에서 측정한 잠재경제성장률이고 오른쪽 그래프는 한국은행에서 실질경제성장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2011 년과 2014 년의 실질경제율의 평균값은 2015 년과 2018 년의 실질경제성장율 평균값에 비해 높은 값을 기록하며 2011 년과 2014 년의 잠재성장률은 3%에 웃도는 값을 갖고 있다. 하지만 2015 년과 2018 년의 실질경제율의 합의 평균을 구한 값은 2.6으로 2015 년 2018 년의 잠재성장률인 3.0~3.2에 비해서 낮은 값을 기록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