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위암.Case a+자료 입니다
- 최초 등록일
- 2018.10.04
- 최종 저작일
- 2017.03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간호학과마스터
3회 판매

목차
Ⅰ문헌고찰
1. 위암이란?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경과 및 합병증
6. 치료
7. 예방
8. 출처
ⅡCASE STUDY
1. 간호사정
1)병력조사(History Taking)
2)신체검진 및 V/S
3)진단적 검사
4)치료 및 간호
5)간호과정
2. 실습 후 소감
본문내용
4. 진단
위암은 증상과 진찰만으로는 진단이 어렵고, 방사선 검사(위장조영술) 또는 위내시경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조직 검사로 최종 진단됩니다. 위내시경 검사는 검사 받는 데 다소 불편하지만 직접 위장 내부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의심되는 부위에 대해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위암과 Helicobacter pylori 균 감염 여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 수면 내시경검사가 시행되어 검사에 따른 불편함이 다소 해소되었습니다.
5. 경과 및 합병증
위 절제술 후에는 식사 후 복통, 설사, 식은땀, 현기증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위의 상실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서 수술 후에는 소량씩 자주 음식을 나누어 섭취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위를 모두 제거한 후 5년 후에는 비타민 B12 흡수 결핍에 따른 빈혈과 신경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정기적으로 비타민 B12를 투여받아야 합니다.
복강 내 파종에 의해 복수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뇨제를 사용해 볼 수는 있으나, 암성 복수는 대개 이뇨제에 반응하지 않아 환자가 복부 팽만으로 불편해할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피부 바깥에서 복강 내로 바늘을 찔러 넣어 복수를 배액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복강 내에 암이 파종되어 장폐색이 오는 경우에는 금식을 시행하고 코를 통해 비위관을 삽입하여 위액을 배액하여 감압을 시켜 줍니다. 원격 전이에 따른 증상에 대해서는 증상조절을 위해 다양한 치료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통증을 호소할 경우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합니다. 뼈나 뇌에 전이가 있을 때는 경우에 따라 증상완화를 위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는 신체 바깥에서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암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병이 진행하여 완치나 생명연장을 목표로 하지 못할 때에는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키고 고통을 줄이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라 할 수 있습니다. 위암이 걸린 후 5년 동안 살아 있을 확률은 보고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1기일 경우 80~90% 전후, 2기일 경우 50~70%, 3기일 경우 20~50%, 4기일 경우 0~10% 정도입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