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 간호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18.10.03
- 최종 저작일
- 2017.05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1. 기초학습
1)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유형
2) 감염 유형
3) 감염회로
4) 감염에 대한 신체 방어
5) 감염에 대한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간호사정
1) 사정
2) 간호진단
3) 계획
4) 수행
본문내용
감염관리는 대상자와 의료진에게 안정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필수적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정보, 전파방법 및 예방법에 대해 교육해야 하며, 간호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개인 보호 장구를 갖추어 감염물질이나 자상, 비말로 인한 감염 등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1. 기초학습
1)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유형
-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
- 특히, 세균은 감염성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미생물로 공기, 물, 음식, 신체조직 및 체액을 통해 전파된다.
- 황색 포도알균(황색포도구균)은 인간에 상주하는 주요 미생물이다.
2) 감염 유형
- 감염(infection)은 정상조직을 손상시키거나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것이다.
- 감염은 증상과 징후가 뚜렷하고, 다른 상태와 구분이 될 때 질병이 된다.
- 감염성 질병은 다른 사람에게 직접 전파되는 것으로 과거에는 전염병으로 불렸다.
국소감염
미생물이 있는 신체부위에만 감염이 국한된 것
전신감염
미생물이 퍼져서 다른 부위까지 손상되는 것
급성감염
짧은 기간 동안 발생한 것
만성감염
천천히 발생하여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
의료관련 감염(HCAI)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 발생한 것으로 환자뿐만 아니라 병원에서 발생하는 직원들의 감염도 포함됨
- 의료관련 감염은 의학의 발전과 함께 노령인구의 증가, 만성질환자의 증가, 항암제 및 면역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한 면역부전환자의 증가, 항생제 사용의 증가 등을 이용한 각종 침습적 의료처치의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해오고 있어 발생률은 세계적으로 약 10%에 해당된다.
- 4대 의료관련 감염은 폐렴, 요로감염, 수술 창상감염 및 혈관장치 관련 혈류감염으로 이 중 요로 감염은 의료관련 감염의 약 34%에 해당하며, 나머지 3가지 감염은 각각 14~17%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 자료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 I』, (수문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