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 심근경색)
- 최초 등록일
- 2018.09.22
- 최종 저작일
- 2017.08
- 3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판매자아짜리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소개글
성인간호학 실습 중환자실 때 작성했던 케이스입니다~
A 받았던 자료 이니 믿고 구매하세요~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병인 및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검사
5. 시술 및 수술
6. 합병증
7. 협력관리
Ⅱ.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1. 간호사정
2. Lap data
3. Medication
Ⅲ. 간호과정(Nursing Process)
1. 우선순위별 간호진단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심근경색은 지속적인 허혈의 결과로 일어나고 비가역적인 심근세포 사망(괴사)을 유발한다. 모든 급성 MI의 80~90%가 혈전 형성에 이차적으로 발생한다. 혈전이 생기면 심근 말초 부위에서 폐색 부위로의 관류가 정지되어 괴사가 유발되고 괴사 부위에서의 심장의 수축 기능이 멈춘다. 손상된 기능 정도는 침범된 심장부위와 경색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MI는 좌심실의 일부를 포함한다.
급성 MI가 진행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심장세포는 세포 사망 전 20분 정도 허혈상태를 견딜 수 있다. 가장 초기에 허혈되는 조직은 심내막하이다. 허혈이 지속되면 심근의 전층이 괴사되기까지 4~6시간 정도 걸린다.
경색은 한 부위 이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경색의 위치는 관련 관상동맥의 순환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하벽 경색은 우관상동맥 폐색으로 인해 발생하고 전벽 경색은 좌전하방동맥 폐색에서 기인한다. 좌회선동맥의 폐색은 측부 또는 후벽 MI를 유발한다.
2. 병인 및 병태생리
1) 동맥경화반 파열과 혈전 형성
급성 심근경색증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동맥경화증이며, 가장 흔한 발생원리는 관상동맥의 동맥경화반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피 덩어리)에 의해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면서 심근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2) 기타
관상동맥 수축(연축), 관상동맥 색전증, 관상동맥 박리증(찢어짐) 등이 급성 심근경색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임상증상
1) 통증
휴식, 체위변경, 질산염제제 투여에 의해 완화되지 않는 심한 부동성 흉통이 MI의 특징이다. 다른 통증과 달리 통증이 지속적이며, 보통 힘겨움, 압박감, 답답함, 작열감, 죄이는 느낌, 눌리는 느낌으로 묘사된다. 흔히 발생하는 부위는 흉골 하부, 흉골 후부, 상복부이다. 통증은 목, 턱, 팔, 등으로 방사될 수 있다. 또한 비전형적이기는 하지만 흉통 없이 구역, 구토 증상만 있는 경우도 있고, '소화가 안 된다', '속이 쓰리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신경림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 이동숙 외)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