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에서 평생교육의 역할을 논하고, 주변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와 실패하고 있는 사례를 각각 2개이상 제시하고 그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쓰시오
- 최초 등록일
- 2018.09.21
- 최종 저작일
- 2018.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우리사회에서 평생교육의 역할을 논하고, 주변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와 실패하고 있는 사례를 각각 2개이상 제시하고 그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쓰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평생교육
1) 의미와 목적
2) 역할
2. 평생교육프로그램
1) 성공적인 사례
2) 실패한 사례
Ⅲ. 결론 - 개인적인 견해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현재의 사회면을 장식하고 있는 기사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아마도 ‘고령화’에 관련된 내용일 것이다. 고령화란 출산이 줄어들고, 노인의 수명이 연장되어 기대수명이 높아진 상태, 따라서 평균 연령 자체가 상승 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일하는 연령층이 점점 줄어 2070년 대에는 성인 인구 1.45 명당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기대 수명이 높아졌지만 노인의 경제적 정년은 오히려 짧아 졌다. 경쟁력이 없는 세대는 그 아래의 세대를 위하여 과거 보다 빠르게 자리를 양보한 것이다. 또는 기업의 권고를 통하여 정년퇴임을 당하게 된다. 이 같은 조건 두 가지는 상당히 아이러니한 상황을 보여주는 예에 해당하는 것이다. ...
< 중 략 >
2. 평생교육프로그램
평생 교육 프로그램은 그 종류만 해도 천차만별이다. 다양한 종류, 다양한 과목들이 있게 된다. 학교 시설의 개방을 통하여, 어머니 교실, 꽂꽂이 강좌, 혹은 사진 강좌 등의 학습을 할 수도 있고, 방송통신대학교 혹은 사이버 대학교를 통해 강좌를 개설한 경우도 있다. 그리고 사회 복지관 등에서 주최하는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 공공기관, 산업체 등에서 실시하는 평생 교육 등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많은 종류의 평생 교육 프로그램을 성공적인 사례, 실패적인 사례의 확인을 통해서 그 내용을 파악해 보기로 한다.
1) 성공적인 사례
올해 개교 43주년을 맞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전ㆍ충남지역대학은 모든 사람들에게 고등교육을 받을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정보ㆍ통신매체를 통한 원격교육을 실시하는 원격대학이다. 이를통해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 자료
기호일보 김재성 ‘학부모 평생교육 특화 프로그램 운영’ 2017.6.5
아시아 뉴스 통신 이훈학 기자 ‘방통대,70%가 직장인 "평생교육 실현"’ 2015.12.14
중앙일보 오피니언 권대봉 교수 ‘평생교육 패러다임, 대학 주도로 바꾸자’ 2016.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