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유주의와 제3의 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8.09.19
- 최종 저작일
- 2018.09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레포트114 (본인인증회원)
19회 판매
소개글
사회복지개론
신자유주의와 제3의 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자유주의
1) 신자유주의란
2) 신자유주의에 의한 변화, 빈곤(복지국가의 후퇴)
2. 제3의 길
1) 제 3의 길
2) 제3의 길과 복지국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신자유주의는 국가권력의 시장개입을 비판하고 시장의 기능과 민간의 자유로운 활동을 중시하는 이론이다. 1970년대부터 케인스 이론을 도입한 수정자본주의의 실패를 지적하고 경제적 자유방임주의를 주장하면서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
제 3의 길은 사회민주주의와 전통보수주의적 자본주의의 극단화된 변종인 신자유주의로 기든스는 설명하고 있다. 제 3의 길은 세 번째로 등장한 복지이념이다. 사회민주주의적 기획을 제 1의 길로 보고 신자유주의 시기의 복지축소기를 제2의 길로, 새로운 진보주의를 제 3의 길로 본다.
본문에서는 앞에서 살펴보고 있는 내용과 관련하여 신자유주의와 제 3의 길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신자유주의
1) 신자유주의란
신자유주의는 자유시장과 규제완화, 재산권을 중시한다. 곧 신자유주의론자들은 국가권력의 시장개입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지만 국가권력의 시장개입은 경제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오히려 악화시킨다고 주장한다.
참고 자료
위키백과
앤서니 기든스, 제3의길, 책과함께, 2014
서울신문, 상대적 빈곤·사회적 고립·우울감 공유… ‘희망 사다리’ 끊다, 201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