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혼합모형, 최적모형, 엘리트모형, 쓰레기통모형 등의 주요개념
- 최초 등록일
- 2018.09.17
- 최종 저작일
- 2018.09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목 : 사회복지정책론
주제 : 합리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혼합모형, 최적모형, 엘리트모형, 쓰레기통모형 등의 주요개념을 설명하고 이상의 정책결정 모형 중 우리나라 정책에 적용된 모형의 정책사례와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정책결정모형과 이유를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책결정 모형의 개념
2. 적용 사례
3.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책은 정책이 필요한 목적,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정책을 수행할 수단, 규칙 등을 서로 상의하여 결정한 후에 정립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정책이 만들어지기 까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수없이 많은 의사소통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는 유사하지만 개념이 다른 정책결정이라는 것은, 정책을 만들고 난 후 집행을 결정하려고 할 때, 많은 정책들 중 가장 적합한 정책을 정하는 결정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정책결정을 하려고 할 때에는 현재 상황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책결정을 도와주는 방법으로 정책결정 모형이 주로 사용된다. 정책결정 모형은 많은 종류가 있고, 결정을 할 때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모형을 선택한다. 많은 정책결정 모형들 중 가장 먼저 생긴 모형은 결정의 합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합리모형이다.
참고 자료
국민연금개혁안의 정책결정이론의 연구, 한국행정학회,
kapa21.or.kr/data/data_download.php?did=2655
정책분석과 결정사례, 한국정책능력진흥원,
www.sopa.or.kr/download/board/lecture03.pdf
정책논쟁의 틀과 정책결정 : 의약분업정책사례를 중심으로, 유승현, 한국행정논집,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