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다이와 오르프의 음악교육법을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적용방안을 제시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8.09.07
- 최종 저작일
- 2018.07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코다이와 오르프 음악교육법
1) 코다이의 음악교육법
2) 오르프의 음악교육법
2. 우리나라 전통음악 교육의 필요성
3. 코다이와 오르프 음악교육법의 전통음악 적용방안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악이란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영역의 음과 소음을 소재로 하여 박자·선율·화성·음색 등을 일정한 법칙과 형식으로 종합해서 사상과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이다. 음악은 동적이고 시간예술이라 불리는데, 같은 시간예술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각각 독자적인 특성을 갖추고 있다. 곧 문예는 언어의 사용으로 관념적인 의미내용을 표현하고, 무용은 무용수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함으로써 시각적이고 형상적인 데 반해 음악은 소재인 소리의 순수성(純粹性)에다 시간적인 성질에 바탕을 둔, 가장 단적인 시간예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악을 사용하는 활동은 인간의 지적인 측면과 정서적인 측면의 성장을 돕는다. 음악적 경험은 유아의 음악적 개념을 개발시키며 잠재된 창의성을 자극하여 느끼고 생각한 것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음악은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교육이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 졌을 때 유아의 음악성을 발달한다. 음악교육은 유아의 음악적 감수성을 발달시킴으로써 음악예술을 통한 자아성취를 이룩할 수 있도록 이끄는 교육이다. 유아의 전인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음악교육의 접근은 1960년대부터 재인식되었고, 인간의 심미적 계발을 목표로 한 교육이 부각되었다. 이런 시점에서 헝가리에 졸탄 코다이와 독일의 칼 오르프가 민족음악에 바탕을 둔 새로운 지도 방법은 창안하였다. 이들은 유아들의 생활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음악 소재로 보고, 흥미 중심의 창조적인 음악관을 길러주었으며 음악적 기초를 강조하는 조기교육성을 강조하였다. 한국에서도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세계적 음악교수법이 도입되어 유아 음악 교육현장에서 한국적 적용을 시도하여 유아에게 적합한 교육자료 개발과 교수방법의 쳬계화를 통해 한국음악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다. 유아기는 모든 분야에 대한 선호도가 결정되는 시기이므로 음악적 발달단계에 있어 우리 고유의 리듬과 국악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시기에 있기 때문에 국악의 조기 교육은 아동기나 유아기에 교육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음악 [music, 音樂] (두산백과)
아동음악/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 2018
코다이 교수법을 이용한 한국 민요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김난희 / 2006
칼 오르프 지도법을 활용한 경기민요 창작 지도방안 /양은미/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