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보건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안
- 최초 등록일
- 2018.09.07
- 최종 저작일
- 2018.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as**** (본인인증회원)
17회 판매
목차
Ⅰ. 서론
1. 이 과목을 대하면서 첫 느낌(1)
2. 미국의 정신보건의 역사(1)
3. 한국의 지역사회 정신보건 정책 소개(2)
4. 미국, 일본, 주변국가나 유럽국가와 비교하여 차이점 서술(1)
Ⅱ. 본론
1. 한국 지역사회정신보건의 문제점(8) (OECD국가들과 통계수치 비교 시 차이점, 역사적 차이점, 정부의 지원 정도, 제도적 차이점 등)
2. 한국 지역사회정신보건의 개선 방향 서술(8)
Ⅲ. 결론
1. 현 우리나라 정신보건 사업의 실태 돌아보고 어떤 방향으로 개선되어야겠다는 한줄 요약(1)
2. 한줄 요약에 따른 나의 느낌(2)
3. 수업을 마치며 전반적인 느낌 서술(1)
본문내용
이 과목을 대하면서 첫 느낌(1)
‘지역사회 정신건강과 간호’ 라는 과목명을 처음 보았을 때 학창시절부터 정신간호학을 좋아하지 않았고, 성적도 좋지 않았기 때문에 반갑진 않았습니다. “정신간호학을 또 배우네.. 싫다..” 라는 마음이 가장 컸고, 걱정이 앞섰습니다. 하지만 이왕 배우게 되었으니 열심히 한번 해보자 다짐하며 수업에 임하게 되었습니다. 매주 강의를 들으며 그동안 임상에서 봐온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의 증상과 내용이 매치되며 점점 흥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미국의 정신보건의 역사(1)
1)태동기(~1910년)
1905년 보스톤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신경진료소에서 최초로 사회사업가를 채용, 1906년 맨해튼 종합병원에서 사회사업가 채용.
당시 사회사업가의 역할은 정신과 의사에 대한 보조적 위치로, 첫째 신환에 대한 생활력을 알아보고 둘째, 환자의 가족이나 친지들과 환자의 유대를 강화하도록 노력하며, 셋째, 환자의 병이 약화될지도 모르는 갑작스런 위기를 피하도록 환자를 돕는 일이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