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도자기 산업

*강*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8.09.05
최종 저작일
2009.02
1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열심히 준비해서 A+ 받은 과제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일본도자기의 역사
1) 임진왜란 이전
2) 임진왜란 이후

2. 한중일 도자기 비교

3. 일본 도자기 산업
1) 일본 도자기의 해외 진출
2) 현대 일본 도자기 산업의 현황
3) 국내 판매 전략
4) 해외 판매 전략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서론

문명이 발달하고, 그 토질(土質)의 특성을 완전히 파악하고 있어야 청자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이미 고려시대에 청자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아무리 우리의 청자가 우수하다고 하여도 전 세계적으로 중국과 일본의 자기에 비하여 알려지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지난 10월 15일 ‘청자, 부활을 꿈꾸다’라는 제목의 특집방송을 보던 중, 고려청자를 둘러싼 사기극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지난 2000년 11월 고려청자 사기극으로 일본사회가 뒤흔들렸다. 이 사건은 교토(京都)에 사는 다니 슌제이(谷俊成•71)라는 중견도예작가가 한국의 도공이 만든 작품을 사들여 ‘목인(木人)’이란 자신의 낙관을 새긴 뒤 세계적 명품인 한국 고려청자의 맥을 이었다고 속여 세계적인 고려 청자 전문가로 행세한 희대의 고미술 사기극이다. 다니씨는 1991년에 아키다현(秋田縣)미술관, 93년에 파리 유네스코 본부와 동양 컬렉션으로 이름이 높은 기메박물관, 95년에는 이탈리아의 피렌체와 밀라노 등에서 도예전을 열어 세계적인 고려청자 전문가로 이름을 떨쳤다.

< 중 략 >

Ⅱ. 본론

1. 일본 도자기의 역사

일본의 도자기는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의 도공들이 유입으로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이에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한 일본 도자기의 역사와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1) 임진왜란 이전

일본의 도자기 역사는 약 12,000년 전인 조몽(縄文)시대부터 시작된다. 조몽시대는 약 만년 정도 이어졌는데 그 동안 사회·문화 등이 크게 변화했고 각각의 시기에는 모두 특징적인 토기(土器)가 만들어졌다. 조몽시대 말기에 각종 새끼줄을 덜 마른 그릇 표면에 눌러서 무늬를 만드는 다조몽(多縄文)토기가 만들어진다. 다조몽(多縄文)토기는 야요이(弥生)시대까지 수천 년 간 사용되었는데, 여기서 처음으로 일본적 특색이 확립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참고 자료

김순현, 일본에 전해진 한국문화-임진왜란이후의 도기문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석사논문, 1987
김제규, 유혹하는 유럽 도자기 ,한길아트, 2000
김태연, 중국•일본•유럽도자를 통한 한국 도자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6
유홍준•윤용이, 알기 쉬운 한국도자사, 학고재, 2001
홍하상, 열두겹 기모노의 속사정, 삼진기획, 1998
*강*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 A+ 자료 ] 친일문학(암흑)에 대한 자료조사 6페이지
    일체의 구호에 따라 “황국신민 서사”의 제창, 신사참배, 일본어 사용 ... 적으로 일제에 협력하였다. 형식적인 측면은 일본어와 조선사용 문제를 ... 말한다. 당시 친일 협력의 문학일본어로 창작할 것인가 아니면 조선
  • 한글파일 순화 생성과 정착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존 외래와 순화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 11페이지
    , 「인터넷 일본어 신조의 특징과 생성 배경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문학 ... 부분은 외래 순화에 대해서는 영 순화보다 한자일본어 순화에 더 ... 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자일본어를 순화한 말들은 연구
  • 한글파일 일제강점 생활상 10페이지
    의미하는 ’영 한 시간, 국(일본어)한 시간‘ 등의 은가 유행하는 ... 윈도는 일본인과 조선인 상류층의 습관·행동·소비문화를 식민지 대중 ... 우리나라는 일제강점, 아니 그 이전인 개항 후부터 시작하여 일본
  • 한글파일 [수업자료][학습지도안][교수학습과정안][수업연구지도안][연구수업지도안] 우리말 가꾸 연구수업지도안입니다. 18페이지
    말이 오염되 가고 있는 주된 요인은 한자일본어를 계속해서 사용 ... 로 받아들이었다면 오늘의 일본어일본 문화는 형성되지 못하였을 것이다. ?동사 ... 투) ③문학에 있서의 예술성 (일본어투) ④동생을 하나 가지고 있습니다.(영
  • 한글파일 한국대중문화 10페이지
    (?) - 결혼(일반적/대중사용) 2.반의(反??) 부모↔자식 아버지 ... ? 5위 러시아 ? 6위 스페인 西班牙? ? 7위 일어 ? 8위 아랍아 ... 대중가요 일본 엔카(演歌) 양식 노래 - 트로트 비수와 한탄, 침탈의
  • 한글파일 언사문 프로젝트 과제물 8페이지
    물었다. 영를 외래로 주로 사용하는 사람이 67명, 일본어를 외래 ... 아니라 일본어로 바뀌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생각에 설문조사를 하게 ... 제목의 외래 사용실태(2018) 1) 네이버 지식백과_한국민족문화
  • 한글파일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한동안 한문으로 쓰여진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이후에 한글 문학이 주류를 이루게 된 계는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4페이지
    600여 년의 활용 역사를 가진 일본어 문학이나 영국 문학, 프랑스나 ... )을 제시한 바로 그 사람이다. 그는 초창 한국와 한글에 본격적인 ... , 16세(조선 전)의 한글 사용의 양상은 대중적인 확산의 전조였으며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일본의 도자기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