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로 할 수 있는 것들
- 최초 등록일
- 2018.08.27
- 최종 저작일
- 2017.04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목차
1. 메카트로닉스 개념
① 메카트로닉스 정의 및 생성배경
② 메카트로닉스의 간단한 원리
③ 메카트로닉스의 역사
④ 메카트로닉스의 기본구조
⑤ 학문적 특성
⑥ 응용 분야
⑦ 관련 산업 분야(4가지)
2. 메카트로닉스 활용
① 로봇 청소기
- 로봇청소기의(탄생배경, 구조, 종류, 기능, 전망)
② 자율주행자동차
- 자율주행자동차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가?(핵심부품 & 센서)
3. 고찰
본문내용
① 메카트로닉스 정의 및 생성배경
메카트로닉스(Mecatronics)란? 1970년도 초 일본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이다. 기계공학(Mechanics)과 전자공학(Electronics)의 합성어로, 전자소자를 이용한 센서기술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제어기술등의 전자공학에서 발전된 기술이 기계공학에 접목된 첨단의 학문분야이다. 메카(Mecha)는 기구나 기계요소 등의 기계기술을 의미하고, 트로닉스(Tronics)는 제어 알고리즘이나 제어요소 등의 전자기술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계적인 요소)와 (전자적인 요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기계적 아날로그 형태의 자동화를 전자적, 디지털 혹은 소프트웨어적인 자동화로 바꾸는 기술을 말한다.
현재 기계공업은 전기 전자 컴퓨터 및 제어 계측분야의 결합을 통한 신기술의 출현으로 그 연구 분야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이후부터 기계에 전자가 결합되어 새로운 시스템이 구성되었다. 이 시스템이 바로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이다. 최근에는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처리기술을 포함한 보다 넓은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아날로그 형태의 자동화를 오늘날 산업 현장에서 (생산성 향상과 고 정밀도, 다품종화, 자동화)같은 High Quality 기술이 요구되면서 기존의 기계적 구성요소만으로는 이에 부응할 수 없어 기계 + (전기, 전자, 통신) 프로그램 등의 요소들이 도입되었다.
특히 (로봇 및 자동차 제어시스템, 생산 자동화 제어시스템, 사무 및 생활편의시설 제어시스템) 최적설계 및 제작이 여기서 연구되는 분야이다.
기계와 전자가 복합된 시스템의 지능화 기술연구와 로봇 등 자동화기계의 설계, 계측제어분야의 제반기술을 연구하여 국내산업의 생산성 향상 및 생산 환경 개선하기 위해 정밀도, 속도, 효율, 환경 적응성, 신뢰성, 안전성의 향상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그리고 메카트로닉스(Mechatonics)는 (기계공학, 전자공학, 제어 및 정보공학) 등 넓은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
참고 자료
다음카페 http://cafe.daum.net/polytechnic)
[네이버 지식백과] 나노메카트로닉스 [Nano Mechatronics]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자율주행 자동차 - 스스로 c움직이는 미래의 자동차 (용어로 보는 IT)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현황 및 시사점 / 저자 이재관
메카트로닉스 입문 저자 한동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