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대금결제 방식의 어제와 오늘
- 최초 등록일
- 2018.08.17
- 최종 저작일
- 2018.03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소개글
무역대금결제 방식의 어제와 오늘
목차
1. 서론
2. 본론
1)송금 결제 방식
2)추심 결제 방식
3)신용장 결제 방식
4)국제팩토링 결제 방식
5)포페이팅 결제 방식
3. 결론
본문내용
무역이란 국가 간의 상거래 행위이다. 상거래 행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거래 대상을 안전하게 인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본질적으로 상거래를 하는 이유는 이윤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결제 또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무역거래에서 매도인의 물품인도에 대한 매수인의 대금지급은 쌍무적 의무이므로 매매당사자는 무역계약시 대금결제방식에 대하여 약정하게 된다. 따라서 매매계약은 매도인이 물품인도의무를 부담하고, 매수인은 대금지급의무를 부담하는 쌍무적 채무부담과 함께 그 대가의 보상으로 금전지급을 원칙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매매당사자에 있어서 무역 결제는 항상 민감한 문제이다. 이윤을 목적으로 무역거래를 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점도 중요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대금을 지급할 것인가, 지급을 받을 것인가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대금결제라는 것은 물품인도에 따른 대금지급의 과정으로 만일 결제가 약정된 기간 내에 완료되지 않으면 채무불이행의 당사자는 이의를 제기하게 되고 계약위반에 대한 구제를 받게 된다. 무역결제는 결제 방식이 다양하지만, 전통적으로 신용장 및 화환추심과 같은 환어음에 의한 결제인 화환제도가 중심이 되어 왔다.
하지만 1973년 스위프트(SWIFT) SWIFT(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는 전 세계 은행들이 외국환거래와 관련된 각종 메시지를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는 통신망으로 1973년 15개국 239개 은행이 창립하여 3년간의 시험을 거쳐 1977년부터 22개국 518개 은행을 대상으로 메시지 교환에 들어갔으며, 우리나라는 1992년 3월부터 정식으로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신용장거래가 은행의 SWIFT망을 통하여 교환되고 있다.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은행들은 인터넷을 이용해서 은행의 고객과 연결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사실상 모든 신용장들은 신용장발행에 있어 전자적 구성요소를 갖추게 되었으며, 전자적으로 수익자에게까지 전송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시간이 지나면서 무역 운송의 형태와 주요 무역 품목만 바뀌는 것이 아니라 무역 대금 결제 방법까지 바뀌고 있다.
참고 자료
1) 강원진, “무역결제론”, 박영사, 2004, p.3
2)SWIFT(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는 전 세계 은행들이 외국환거래와 관련된 각종 메시지를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는 통신망으로 1973년 15개국 239개 은행이 창립하여 3년간의 시험을 거쳐 1977년부터 22개국 518개 은행을 대상으로 메시지 교환에 들어갔으며, 우리나라는 1992년 3월부터 정식으로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신용장거래가 은행의 SWIFT망을 통하여 교환되고 있다.
3)한국 외국환거래법 제 3조 : 환이란 격지자간의 채권채무관계를 현금을 직접 주고받지 않고 제 3자(은행)를 통하여 지급위탁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제하는 수단을 말하며, 내국환이 국내의 대차관계를 결제하는 것에 비하여 외국환은 그것이 국제간에 행하여지는 경우의 환을 말한다.
4) 표 : http://export.ecotrade.or.kr>수출대금회수>송금결제
5) 월드베스트로지스틱스 : http://www.worldbl.co.kr/rain/>고객센터>cargo뉴스
6) 한국무역협회 : http://www.kita.net>무역실무>결제관련>추심결제방식
... 등 약 20개 정도 참고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