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학보고서 수질분석 2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 최초 등록일
- 2018.08.10
- 최종 저작일
- 2017.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Introduction
2. Methods and Materials
3. Results
4. Discussion
REFERENCES
본문내용
수중의 유기물질에 과망간산칼륨이나 중크롬산칼륨 등의 수용액을 산화제로 넣으면 유기 물질이 산화된다. 이때 소요되는 산화제의 양에 상당하는 산소의 양을 mg/l또는 ppm으로 나타낸 것을 COD(Chemical oxygen demand)값이라고 한다. COD값이 적을수록 오염 물질이 적게 들어 있어 수질이 좋고, COD값이 클수록 오염 물질이 많이 들어 있어 수질이 나쁨을 의미한다. 수질 환경 기준에서는 상수원수 1급수는 1ppm 이하, 상수원수 2급수에는 3ppm 이하를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BOD와 함께 폐수의 유기물 함유도 측정을 위한 중요한 척도이다. 즉, COD란 화학적으로 산화 가능한 유기물을 산화하는데 필요한 산소요구량이다 COD도 BOD와 마찬가지로 폐수 내의 유기물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킬 때 얼마만큼의 산소가 화학적으로 소모되는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COD는 산화제로 BOD는 미생물에 의하여 산화시킨다.
참고 자료
김좌관, 2000, 수질오염개론, 동화기술
유성환, 1998, 수질조사 및 분석, 동화기술
최규철, 1999, 수질오염공정시험법주해, 동화기술
백도현, 2005, 수질오염관리, 신광출판사
박청길, 2007, 수질분석법, 동화기술
임수곤, 2003, 과망간산법과 중크롬산법 및 분광광도법에 의한 COD 측정의 비교 분석
동화기술편집부, 2003, 공정시험방법, 동화기술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0831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8777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5899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1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