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융위기에 대한 분석과 논의 - 트럼프 정부 보호무역 관세 장벽 관점
- 최초 등록일
- 2018.07.11
- 최종 저작일
- 2018.06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서론
2. 미국 금융위기 분석
1) 미국 금융위기의 발생 원인
2) 트럼프 정부 보호무역주의 관점
3. 미국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 현황
1) 미국의 대내외적 경제 현황
2) 경제 동맹국 아시아
3)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유럽 연합
4) 한국의 경제 현황
4. 미국 금융위기에 대한 시선
1) 부정적 시선
2) 긍정적 시선
5. 결론
1) 금융위기와 세계적 경기 침체에 대한 해결책
2) 추후 전망 및 종합적 분석
본문내용
미국 역사상 1920년대 대공황과 맞먹을 정도로 최악의 경제위기로 불리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많은 변화가 있었다. 2008년 당시 부동산 기대에 대한 편승과 수많은 금융권들의 비윤리적인 전행들로 인해 전 세계 경제는 한바탕 곤혹을 치렀던 것이다. 짧게 보면 2년 길게 보면 5년이라는 기간동안 세계 각국은 침체된 경제 상황을 돌보느라 많은 정책들을 내놓았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아직도 나타나는 중이다.
사태 이후 미국은 대통령이 2번이나 바뀌는 일도 있었고 강산이 변한다는 10년이 흘렀다. 급변하는 세계 경제상황 속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새로운 보호무역주의를 채택하고 관세전쟁을 일으켰으며 또 다른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과연 모두가 죽겠다고 하던 그 순간을 전문가들은 어떻게 해쳐나갔으며 그들의 예측은 정확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본 보고서는 근 10여 년간 있었던 세계 경제의 중심 미국의 사태를 바탕으로 미시적, 거시적 관점에서 경제 주체들의 모습을 바라보려고 한다.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를 시작으로 글로벌 경기침체, 4차를 넘어 5차 혁명까지 앞으로의 산업에 대한 수많은 예측들까지도 한번 정리 해보려고 한다.
미국 금융위기의 발생 원인
2008년 세계적 금융 기업들은 미국 부동산에 집중하는 시기였다. 리먼브라더스, AIG 누구나 한번 쯤 들어 보았을만한 보험회사, 증권회사들은 서로의 신용을 바탕으로 부동산에 투기를 하는 개인에게 많은 투자를 하였다. 간접적이지만 이들은 하나하나 거미줄같이 엮여져 있었으며 이윤추구를 위해 함께 움직였다. 당시는 미국의 부동산이 급상승하는 시기였고 담보 금액의 90%까지 대출을 허용하며 지대 상승에 힘을 보태고 있었다. 하루 자고 일어나면 대출 이자를 넘어서는 이윤이 났기에 개인들도 무리한 대출을 강행하기 시작했으며 은행, 보험사들도 신용이 낮은 부문까지 대출을 일삼았다. 서브프라임에게도 주택담보대출을 과대하게 한 결과는 매우 처참하였던 것이다.
참고 자료
미국 금융의 탄생(알렉산더 해밀턴과 앨버트 갤러틴의 경제 리더십), 2013년, 토머스 K, 휴먼앤북스
세계 금융의 미래 (전세계 금융을 좌우하는 막강한 세력의 실체를 밝힌다), 2009년, 아베 요시히로, 엘도라도
넥스트 머니(부의 미래를 바꾸는 화폐 권력의 대이동), 2018년, 고란, 다산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