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지역개발정책(동북개발정책, 서부대개발정책, 일대일로, 신실크로드)
- 최초 등록일
- 2018.07.05
- 최종 저작일
- 2018.05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중국 지역개발정책
2. 서부 대개발 정책
3. 동부지역 개발정책
4. 신실크로드 정책
5. 시사점 및 결론
본문내용
국의 주요 지역개발 정책은 국가발전개혁위원회에서 담당하며기획국, 지역경제국, 서부지역국, 동북지역국 등의부서를 두고,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전략하에 지역발전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중국의 지역개발 정책의 목표는 4가지로 나뉜다.
1.국제경쟁력의 제고이다.
주강, 삼각주 발전, 장강, 삼각주 발전, 징진지 발전, 랴오닝성 및 장쑤성 연해 경제발전지역 등을 통해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2. 대외개방능력의 제고이다.
광시북부만 지역발전을 통해 동남아시아국가연합으로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고, 동북과 한국, 북한 등 겨냥하여 지린성 창지투지역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3. 민족지역 발전이다.
소수민족 거주지역인 티베트, 신장, 닝샤, 광시 등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4. 종합개혁실험지역으로 톈진 빈하이신구, 상하이 푸둥신구 등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중국은 개혁과 개방 이전 30년간은 지역균형 발전정책에 따라 서중부의 내륙지역이 집중 개발되었다. 개방직후인 79년 이후 상하이 등 동부 연해지역을 중시하며 불균형 발전정책 으로 전환 되었다. 20년간 동부연안은 덩샤오핑의 선부론을 바탕으로 특혜 속에 급속도로 발전했으며, 이렇게 축적된 부를 서부 돌려 지역간 격차를 줄이고 중국 전체의 균등발전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 서부개발의 골자다.
중국 중서부지역이 기지개를 펴고 있다. 광대한 중국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총 인구의 5분의 1, 중국경제 내 비중은 7분의 1 정도에 그치는 낙후한 중국 서부지역이 개방과 개발 열풍으로 서서히 달아오르고 있다. 중국 정부는 올해 초 서부대개발사업을 새천년 최대 과제로 정하고, 투자 유치를 위해 해외기업들에 손짓을 보내고 있다.
서부 대개발은 중국이 경제강국으로 들어가는 길목이다. 서부대개발에 성공하면 2050년에는 미국에 버금가는 경제강국으로 발돋움하고 실패한다면 경제대국에는 이를지언정 경제강국의 수준에는 도달하기 힘들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