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특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8.06.22
- 최종 저작일
- 2018.06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1980년 5월
2. 5․18 '폭동'
3. 5․18과 미국
4. 5․18 발생 원인
5. 2000 그리고 5.18 민주화 항쟁
6. 5․18의 의의
7. 민중운동 및 계급의식의 발현으로서의 광주
8. 광주 민중항쟁의 평가와 남겨진 과제
Ⅲ. 결 론
본문내용
1. 1980년 5월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목숨을 잃게 됨으로서 그간의 유신시대가 가고 긴급조치도 사라지게 되었다. 박정희가 가고 권력에 진공상태에서 육사 11기생 중심의 12․12 사태가 발생하게 된다. 당시 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은 강제적인 무력을 통해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었던 정승화를 체포하면서 시작된 12․12는 10․26 사태의 공정한 수사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분명 군부내의 쿠데타였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미 18년간의 박 정권을 보낸 정치적 지도자, 재야, 학생 세력은 이미 그들의 역량을 상실한 후이기 때문에 그만큼 움직임이 둔하였으며 또한 조직적이지 못한 상황이였다. 정치적 해결점은 찾지 못한 정치세력, 학생, 재야 세력의 분열은 계속해서 이어졌다. 학생운동은 학생회 부활운동으로 시작되었다. 3월28일 서울대총학생회의 출범을 필두로 하여 4월초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4월의 학원 민주화 투쟁은 병영집체 거부운동으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지배세력의 반공 이데올로기적 공세의 빌미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입영거부를 철회하고 계엄령해제와 유신잔당 퇴진, 정부부도 개헌 중단, 노동 3권보장 등을 주장하며 정치투쟁화하였다. 조직력과 역량부족을 느낀 학생 세력은 지속적인 교내 운동으로 학생운동의 방향을 설정하였으나 5월 13일 강경파 학생세력의 주도로 가두시위로 변모하였다. 그러나 비조직적인 학생운동의 가두시위는 이미 박 정권하에서 경제성장의 맛을 본 도시민들은 신군부의 권력장악도 원치 않았지만 학생들에 의한 정국불안도 원치 않는 배신적인 모습을 보임으로서 학생들의 가두 진출은 일단 실패를 하게 되었고 학생들은 다시 교내로 복귀하게 되었다. 이에 군부는 5월 17일 계엄포고령을 선포하고 김대중과 학생, 재야 세력들의 검거가 시작되었다. 이것은 바로 신군부가 저항세력에 대해 전면전을 선포한 것으로서 바로 광주의 봄의 계기가 되어준 것이다.
참고 자료
김영명 한국현대정치사-정치변동의 역학 을유문화사 1992
정경환 한국현대정치사 연구-민주화 과정과 정치개혁 신지서원 2001
김장한 외 ‘80년대 한국 노동 운동사’ 도서출판 조국, 1989
http://reltih.jinbo.net/reading/korea_history/518gwangju.html
http://woowa.new21.org/NeoBoard/NeoBoard.cgi?Db=c1 => 5.18 민주항쟁 발발과정 (날자 시간대별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