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주체높임법 자료
- 최초 등록일
- 2018.06.21
- 최종 저작일
- 2018.06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3,000원

판매자디로링 (본인인증회원)
3회 판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한국어의 높임법 정의
2. 예외적 높임법의 사용 동기
3. 높임법의 기능
4. 한국어 주체높임법
III. 결론
IV. 참고자료
본문내용
한국어에서 보여지는 언어의 가장 특질적인 부분은 주체높임법이다. 중국어와 일본어에도 경어가 있기는 하지만 이들 경어는 한국어의 경어만큼 복잡한 구성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 우리나라가 예부터 ‘동방예의지국’이라 불릴 만큼 예의를 중시하는 나라였다는 것이 복잡한 경어의 근간을 짐작하게 한다.
하지만 외국인 학습자에게 있어 한국어의 복잡한 경어는 굉장히 어렵고 헷갈리는 부분으로, 많은 학습자들은 높임법을 잘 이해하지 못하며 잘못된 용법을 익혀 사용하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선어말어미인 ‘-시’는 그 사용법을 잘 파악하기가 어렵고 비슷한 구성이 많아 혼동하기 쉽다.
더불어 대상에 따라 압존법을 사용해야 하는 등 조직생활을 경험해보지 않았다면 한국인들도 혼동할 수 있을 만한 주체높임법의 규칙은 한국어 학습의 진입장벽을 더욱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앞서 언급하였듯, 언어 그 자체가 문화를 대변하는 것과 같이 한국어를 사용하는 한국권에서 의사소통은 예의범절이 매우 중요시되며,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있어 필수요건이라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이것을 배제하기는 어려운 것이 실상이다.
참고 자료
김정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
김정숙, “한국어 교수법의 일반 원리”, 『한국어와 한국어교육』, 한국문화사, 2008.
장원원, 한국어와 중국어 주체높임법 대비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