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A+]신라시대와 남북극시대 역사흐름과 쟁점 및 시사점
- 최초 등록일
- 2018.05.21
- 최종 저작일
- 2018.05
- 4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소개글
해당 레포트는 A+받은 자료로써 직접 작성하고' 삼국통일부터 발해 건국시기까지의 역사 및 역사적 쟁점 '에 대해 초점을 맞췄습니다.
또한, 레포트를 보고나서 주관적 견해를 작성할 수 있게 도울 수 있습니다.
A4 2-3매 분량을 찾는 사람에게 유용.
목차
1. 삼국통일~발해
2. 삼국통일론자의 근거사료
3. 남북국시대론자의 근거사료
4. 결론 및 동북공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삼국 통일의 과정과 발해의 건국시기를 말하자면, 6세기 후반 동아시아는 동서와 남북세력으로 나눠집니다. 돌궐, 고구려, 백제, 일본이 친선관계를, 또 수나라, 당나라, 신라의 친선 관계로서 신라는 한반도에 고립되어 있었습니다. 642년 백제는 신라의 수도인 경주로 가는 길목인 대야성을 공격합니다. 신라는 위기극복을 위해 김춘추를 고구려 평양성으로 보내 연개소문과 동맹을 지으려 했지만 결렬됩니다. 이 사이에 고구려와 백제 동맹을 맺은 여제연합군은 신라의 담항성 공격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으로 648년 김춘추는 당나라로 건너가서 나당 동맹을 맺길 적극 추진했습니다. 대신 당나라는 대동강 기준으로 이남지역엔 신라가 이북지역은 당나라가 차지할 조건으로 나당 연합이 결성됩니다. 660년 지금의 충남 연산지방인 황산벌에서 당나라를 등에 업은 신라의 김유신과 백제 계백장군이 이끄는 황산벌 전투가 치뤄집니다. 백제에게 황산벌전투는 ‘국가 존망의 마지노선’이였기 때문에 여기서 국가존망은 나라가 흥하느냐 망하느냐의 문제의 뜻입니다.
참고 자료
王健群, 鄭鎭憲 (2000). 남북국시대론의 오류 시정. 고구려발해연구, 9, 337-350.
송기호 (2006). [역사용어 바로 쓰기] 통일신라시대에서 남북국시대로. 역사비평, 294-299.
삼국에서 남북국으로, 한국사박물관, EBS, 2008「계백」(김상기, 『조선명인전』 중, 1948)
‘신라삼국통일론’에서 ’남북국론’으로 – 김영하,2007
전장과 역사 삼국편, 혜안, 임용한, 2001
조선상고사, 신채호 저자, 비봉출판사, 박기봉 역자, 2006
삼국에서 남북국으로, 한국사박물관, EBS, 2008
조선명인전계백, 김상기, 1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