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7장 교육평등론 요점정리
- 최초 등록일
- 2018.05.16
- 최종 저작일
- 2017.10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교육사회(교육사회학) 7장 교육평등론 요점정리입니다.
목차
○ 공공재(public goods)또는 사유재(private goods) : 교육에 대한 입장
1. 교육기회분배와 결정요인
○ 교육기회 분배의 결정요인 – 문화자본, 사회자본
2. 교육평등론의 전개
1) 교육기회의 허용적 평등 (근대 사회의 이념)
○ 인재군, 재능예비군
2) 교육기회의 보장적 평등 (2차 세계대전 이후)
○ 무상 의무교육
3) 교육조건의 평등
○ Coleman report
○ 고교 평준화
4) 교육결과의 평등
○ 약자 보호 정책 (affirmative action) : 강자를 역차별
○ Rawls의 정의론
○ 보상적 평등주의 : 보상교육 정책
3. 교육평등정책
○ 교육평등 정책의 단계적 성격
본문내용
○ 공공재(public goods)또는 사유재(private goods) : 교육에 대한 입장
교육기회가 어떻게 분배되고 있느냐의 문제는, 교육이라는 일종의 공공재(public goods)를 누가 차지하느냐는 면에서도 중요하지만, 앞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육이 사회적 지위의 획득과 관련될 수도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1. 교육기회분배와 결정요인
○ 교육기회 분배의 결정요인 – 문화자본, 사회자본
부르되가 문화자본 주장, 교육기회 분배에 영향을 주는 것은 부모의 지위와 소득 자체보다 상층계급이 가지고 있는 문화이다. 콜맨이 사회자본 개념 제시, 이것이 가정배경이 상급학교 진학에 영향을 미치도록 만드는 요소이다.
2. 교육평등론의 전개
1) 교육기회의 허용적 평등 (근대 사회의 이념)
○ 인재군, 재능예비군
사람이 타고나는 능력은 각기 다르다고 믿었기 때문에 교육의 양은 능력에 비례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참고 자료
교육사회-저자 김신일 / 교육과학사 출판 -201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