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CaseStudy(ER-심근경색)
- 최초 등록일
- 2018.05.07
- 최종 저작일
- 2014.02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 고찰
1) 심장의 해부 생리
2) 심근경색의 정의
3) 원인 및 위험인자
4) 병태생리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간호
8) 예방방법
2. 간호 과정
1) 간호 사정
2) 간호 진단
3) 간호 수행 및 계획
Ⅲ. 결론 - 경과 및 느낀 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 고찰
1) 심장의 해부 생리
⋅ 정의
심장은 고대로부터 생명과 동일한 의미였다. 그래서 심장이 뛰지 않으면 곧 사망을 의미했고, 이는 현대에도 변하지 않는 상식이다. 심장은 보통 자기 주먹보다 약간 크고, 근육으로 이루어진 장기다. 주된 역할은 산소와 영양분을 싣고 있는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1분에 60~80회 정도 심장근육이 수축한다. 펌프 내지는 자동차의 엔진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심장은 크게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뉜다. 구체적으로 오른쪽과 왼쪽에는 각각 심방과 심실이 있고(총 4개의 방), 각 부분 사이에는 판막이 있다. 왼쪽 부분은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신선한 혈액을 뿜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오른쪽 부분은 각 장기를 순환하여 심장으로 들어오는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실은 혈액을 폐로 순환시켜 다시 산소를 받아들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 위치
심장은 가슴우리 안에 위치하며, 가로막 위, 허파 사이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하위기관으로 심방과 심실, 심장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 형태/구조
심장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무게는 250~350g 정도이다. 두 겹으로 이루어진 심낭막에 싸여있고, 심장의 표면으로는 심장근육에 혈액을 순환시키는 심장혈관이 있다. 심장은 크게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뉜다. 구체적으로 오른쪽과 왼쪽에는 각각 심방과 심실이 있고(총 4개의 방), 각 부분 사이에는 판막이 있다.
동방결절에서 심장근육의 주기적인 수축과 이완을 일으키는 전기자극이 생성된다.
⋅ 기능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켜 생명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혈액은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한 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심장의 왼쪽 부분은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신선한 혈액을 뿜어내는 역할을 하고, 오른쪽 부분은 각 장기를 순환하여 심장으로 들어오는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실은 혈액을 폐로 순환시켜 다시 산소를 받아들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김금순 외 8명 저, 2012년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김금순 외 8명 저, 2012년
성인간호학 임상실습지침서, 수문사, 김효빈 외 3명 저, 201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www.hira.or.kr
보건복지부 - www.mw.go.kr
대한약학회 - www.psk.or.kr
네이버 건강 Beta - healt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