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을 이용한 투자론 포트폴리오 이론 실습
- 최초 등록일
- 2018.05.05
- 최종 저작일
- 2018.05
- 10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1. <1번 문제> 마코위츠 모형을 통해 5개 주식의 투자기회집합 그리기
1) 각 주식의 요약통계량(기대수익률, 표준편차, 공분산)
2) 투자기회집합을 그리기 위한 방법론
3) 엑셀로 그린 투자기회집합 그림
2. <2번 문제> 3개 주식의 시장베타 추정
1) 각 주식에 대한 시장베타의 추이 그래프
2) 각 기업의 시장베타의 추이에 대한 본인의 해석
3) CAPM에서는 시장베타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데 이에 대한 본인의 견해 및 본 가정이 CAPM의 테스트에 미치는 영향 예측하기
3. <3번 문제> 5개 주식의 Risk Decomposition
1) 각 주식에 대한 분산·분해 결과
2) 각 기업의 분산·분해 결과에 대한 본인의 해석
4. <4번 문제> Sharp의 모형을 통해 5개 주식의 투자기회집합 그리기
1) 각 주식의 요약통계량(기대수익률, 표준편차, 공분산)
2) 투자기회집합을 그리기 위한 방법론
3) 엑셀로 그린 투자기회집합 그림
본문내용
2) 투자기회집합을 그리기 위한 방법론
우선 각 주식들의 조합으로 공분산 표를 작성한 후 Covariance 함수를 통해 각 행렬에 상응하는 종목들의 공분산을 구한다. Mmult 함수를 통해 각 종목의 가중치에 따른 포트폴리오의 분산과 표준편차를 도출하는 연산식을 설정한다. 이후 해찾기 기능을 통해 가중치를 변수로 두고 분산이 최저가 되도록 조건을 설정한 후 해찾기를 통해 나온 포트폴리오 수익률이 설정한 목표값과 동일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값(가중치)들을 목표 수익률에 따라 내림차순 정리한 후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이 마코위츠 모형을 통한 5개 주식의 투자기회집합을 도출해낼 수 있다.
<중 략>
2) 각 기업의 분산·분해 결과에 대한 본인의 해석
주어진 데이터를 통해 각 기업의 총 위험을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적 위험으로 분산·분해한 결과 위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우선 삼성전자 주식의 경우 5개 주식 중 총 위험이 가장 낮았으며 총 위험에서 체계적 위험이 차지하는 비율은 5개 주식 중 가장 높았다. 이로 미루어보아 삼성전자의 경우 비체계적 위험을 낮추어도 제거 불가능한 체계적 위험의 위협을 5개 기업 중 가장 많이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SK하이닉스의 경우 5개 주식 중 총 위험에서 체계적 위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낮으므로, 주식의 총 위험 대부분이 비체계적 위험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K하이닉스 주식의 총 위험은 제거가능한 비체계적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다른 주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
현대차의 경우 총 위험이 5개 주식 중 2번째로 낮으므로 Risk Aversion이 높은 투자자들에게 주어진 주식들 중에서 삼성전자와 함께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으며, 삼성전자와 LG화학에 이어 세번째로 체계적 위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